
500t넘는 배들 지상작업 '불가능'
목포·부산등 가서 고쳐야해 '불편'
한중카페리도 모두 중국서 수리받아
환경 문제 '걸림돌' 이전도 어려워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과 백령도를 오가는 연안여객선 '코리아킹(534t)'호는 최근 전남 목포에서 수리를 받았다. 인천에도 선박 수리조선소가 있지만, 규모가 작아 코리아킹호를 고치기 어렵다고 한다.
인천에 있는 선박 수리조선소는 대부분 노후화하고 협소해 중·대형 선박을 지상으로 끌어올려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코리아킹호를 운항하는 고려고속훼리 관계자는 "인천에는 중형급 이상 선박을 고칠 수 있는 수리조선소가 없다. 전남 목포나 경남 통영의 조선소를 이용할 수밖에 없다"며 "유류비 등 이동 비용을 고려하면 한 번 수리받을 때마다 1천만원 정도가 더 든다"고 말했다.
인천항을 드나드는 선박을 만들거나 고치는 인천지역 선박 수리조선소가 애물단지 신세로 전락했다. 중형급 이상 선박을 건조하거나 수리하려면 작업 공간을 넓혀야 하는데, 사업장 주변에 공간이 없다.
다른 곳으로 이전·확정하려고 해도 환경오염 민원 때문에 쉽지 않다. 주민들은 날림먼지 발생 등을 이유로 수리조선소 건립에 반대하고 있다.
인천에 있는 6개 선박 수리조선소는 500t급 이하의 선박을 수리하거나 건조한다. 이들 업체가 처리하는 선박은 어선, 예인선, 도선선, 바지선, 행정선, 어업지도선 등 규모가 작은 것이다.
중형급 이상 선박은 어쩔 수 없이 목포나 통영, 부산 등 대형 선박 수리조선소가 있는 지역으로 배를 옮겨 수리해야 한다.
인천 앞바다를 다니는 연안여객선의 절반 정도도 다른 지역에서 고쳐진다는 게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인천항과 중국을 오가는 1만2천~3만5천t 규모의 한중카페리는 모두 중국에서 수리를 받는다.
게다가 바지선과 예인선 규모가 커지면서 인천지역 선박 수리조선소에서 만질 수 있는 선박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다.
주민 민원이 많아지면서 그나마 남은 선박 수리조선소도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소규모 선박 수리조선소까지 없어지면 어선 등 규모가 작은 선박도 전북 군산이나 충남 장항·보령 등 먼 곳에서 수리해야 한다.
인천지역 선박 수리조선소들은 컨소시엄을 구성해 서구 거첨도에 '조선수리단지'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했었다. 거첨도 주변 공유수면을 매립해 큰 규모의 선박 수리조선소를 만들겠다는 계획이었는데, 주민 반발과 갯벌 훼손 등 환경 문제로 2017년 무산됐다.
인천의 한 선박 수리조선소 관계자는 "인천항을 이용하는 선박만 하루 수십 척에 달하는데, 선박 수리조선소가 변변치 않아 선사들도 고충을 겪고 있다"며 "선박 수리조선소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
하지만 지자체는 환경 문제만을 부각해 우리를 기피시설로 매도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주엽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