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060201000104500004811

내년부터 국내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급감하면서 경제성장률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2일 통계청의 '2017~2067년 장래인구특별추계' 자료에 따르면 중위 추계기준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는 2020~2029년 동안 연평균 32만5천명씩 줄어든다. → 그래프 참조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가 고령 인구로 본격 진입하면서 65세 이상 인구가 연평균 48만명씩 늘어나는 반면, 생산연령인구로 진입해야 할 0~14세 유소년인구는 초저출산 영향으로 연평균 13만5천명씩 줄어드는 영향 때문이다.

당장 내년 생산연령인구는 23만2천명 줄어 감소폭이 올해(5만5천명)의 4배 이상으로 커진다. 연간 생산연령인구 감소폭은 2020~2023년 20만명대, 2024년 30만명대를 거쳐 2025~2026년 40만명대로 확대된 뒤 2030년대엔 52만명대로 더 커질 전망이다.

이처럼 생산연령인구가 급감할 경우 최근 전망치가 하향 조정되는 국내 경제성장률에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도 "당장 주된 고용지표인 취업자수 증가폭에 영향을 주고, 베이비붐 세대가 대거 은퇴해 노인 인구에 편입되면 소득 급감과 소비 감소로 경제성장에 영향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준석기자 joonsk@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