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공감 쉬프트정보통신 최영식 대표이사17
최영식 (사)판교테크노밸리 1조 클럽 협회 초대 회장이 경인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판교테크노밸리 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교두보 역할을 1조 클럽이 맡게 될 것"이라며 포부를 밝히고 있다.

2019071601001238800058534
"미국에 최첨단의 실리콘밸리가 있다면 한국에는 판교 테크노밸리가 있다는 것을 전 세계에 알리고 싶습니다."

지난 2월 국내 최초로 (사)판교테크노밸리 1조 클럽 협회(이하 1조 클럽, 홈페이지 http://potca.org/) 초대 수장을 맡은 최영식(쉬프트정보통신(주) 대표이사) 회장의 포부다.

 

1조 클럽은 뛰어난 기술력과 성장 잠재력을 지닌 중소기업 120개사가 모인 곳으로 7년간 판교테크노밸리를 대표하는 모임으로 운영해오다 올해 초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정식으로 사단법인을 인가받았다. 

 

1조 클럽의 설립 목적은 회원사가 상장할 경우 '유니콘 기업'(시가총액 1조 원)으로 성장시키는 것이며 투자와 육성을 통해 스타트업을 글로벌기업으로 발돋움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 회장은 1조 클럽을 맡기 전 고민도 많았다. 그는 "'쉬프트정보통신을 운영하기도 힘든데 과연 내가 1조 클럽 회장을 맡을 수 있을까'라는 생각에 고민도 많이 했다"면서 "하지만 그동안 회원사들과 함께하면서 용기를 얻었고, 주위 사람들의 권유로 초대 회장을 맡게 됐다"고 소회를 밝혔다.

2019071601001238800058535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최 회장은 1조 클럽 활성화와 기반을 다지기 위해 회원사들과 고민하고 있다. 

 

그는 "현재 미국, 중국, 베트남 등 전 세계 주요 국가 기업에 특화된 지역 정보나 기술력 등을 공유하고 각 기업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상호 지원하고 있다"며 "각 회원사가 기부금을 모아 다음 세대를 이어갈 스타트업을 후원하고 판교테크노밸리 활성화를 위한 각종 행사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1조 클럽은 매월 정회원이 정기 모임을 하고, 매 분기에는 회원사 전체가 참여해 포럼 등을 개최해 상생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향후 경쟁사가 될지도 모르는 기업에 노하우를 공유한다는 것이 쉽지 않지만, 최 회장은 무료 봉사와 다를 바 없는 행위를 스스럼없이 해내고 있다. 

 

자신의 사비를 털어 1조 클럽 사무실을 마련하고 타 회원사보다 더 많은 출연금을 내고 있다는 점을 생각하면 오히려 기부 행위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 회장은 1조 클럽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선 수지타산을 고려하지 않는다. 자사의 발전만이 아닌 1조 클럽 가입사의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선 그 어떤 지원도 아끼지 않는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최 회장은 "판교테크노밸리는 1천500여 기업이 모여 있는 국내 IT업계의 요충지로,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비교해도 전혀 손색이 없다"며 "다만 마케팅, 국제 정보 수집 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 앞으로 우리가 추진해야 할 부분이 바로 여기에 있다"고 말했다. 

 

이어 "판교테크노밸리 내 기업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게 하는 교두보 역할을 1조 클럽이 맡게 될 것"이라며 "우선 기부금을 내는 정회원 기업을 늘려 정기 모임을 확대하는 등의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뷰공감 쉬프트정보통신 최영식 대표이사2

1조 클럽의 정회원 기업은 현재 120여개 기업 중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57개다. 

 

정회원사를 100여개로 늘려 모임 및 활동을 확대해 1조 클럽의 역량을 갖춰 나간다는 것이 최 회장의 목표다.

최 회장은 올해도 어김없이 바쁜 한 해를 보낸다. 그는 ICT 인공지능 LED 예술 조명 사업을 추가해 본격적인 시장 확보에 나설 계획이다. 

 

그동안 이탈리아가 아시아 시장을 선점해 왔지만, 기술력과 원가 경쟁을 바탕으로 이탈리아에 맞서 중국과 동남아시아 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력이다. 

 

특히 2020년까지 정부가 공공 웹사이트의 플러그인을 없앤다는 계획을 발표하면서 액티브 엑스 기반 개발툴을 HTLM5 웹 표준 환경으로 손쉽게 바꿔주는 '제나 컨버터'의 수요도 상당할 전망이다.

 

또 코스닥 상장이라는 숙제도 남아있다. 1조 클럽의 회장으로서 가입사에 모범을 보이기 위해선 오랜 시간 공들여 준비했던 코스닥 상장이 꼭 필요한 시점이다.

최 회장은 "상장은 해외시장에서 서비스 성장을 가속화 하는 수단이며, 질적 성장을 꾀하려는 조치"라면서 "올해 더욱 발 빠르게 움직여 쉬프트정보통신의 성장과 1조 클럽의 발전 모두를 이룰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2019071601001238800058536

최 회장은 '국내 최초 녹색기술 인증 소프트웨어 기업 대표', '국내 최초 WAS 기반 토인비(TOinB) UI 솔루션 및 멀티 플랫폼 '제나'(XENA) 개발' 등 유독 '처음'을 뜻하는 수식어가 많이 붙는다.

지난 1992년 쉬프트정보통신을 설립한 그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 GUI 컴포넌트 기반 웹 개발 툴 및 운영 플랫폼을 포함해 다양한 시스템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공공 기관과 건설, 금융, 의료, 제조, 유통 등 다양한 기업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며 업체를 키워나갔다. 

 

이런 노력으로 쉬프트정보통신은 웹 UI 솔루션 업계에서 유일하게 원천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됐고, 창립 이후 꾸준히 업계 1위 자리를 지키게 됐다.

특히 쉬프트정보통신을 이야기할 때 녹색기술 인증을 빼놓을 수 없다. 

 

최 회장은 "녹색기술을 적용한 제품은 속도와 처리 능력이 타사 대비 10배 가까이 빠르다. 대량의 데이터 처리 속도가 향상됐지만 대기 시간은 감소해 사용자의 업무처리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며 "장기적으로는 업무에 들이는 시간은 물론 전기료까지 절감하는 효과를 낼 수 있다. WEB UI SW 기업이 녹색기술 인증과 녹색기술제품 인증 및 녹색 전문기업 인증을 획득한 사례는 쉬프트정보통신이 세계 최초"라고 밝혔다.

2018년 초 정부가 녹색기술 인증 제품에 대한 지원책을 법제화하면서 쉬프트정보통신의 그린 IT 구현은 더욱 가속화되고 있다. 

 

2014년 개발하기 시작해 2016년부터 판매된 'SHIFT GREEN OFF(PC-OFF 기능과 인사·근태 유연 근무·연동 및 구형을 할 수 있는 통합 솔루션)' 제품도 정부의 주 52시간 근로시간 감독과 맞물려 판로가 순탄하게 개척됐다.

인터뷰공감 쉬프트정보통신 최영식 대표이사1

최 회장은 국내에서만 머무르지 않는다. 

 

쉬프트정보통신은 2016년 중국 청화자광유니그룹과 중국 과학기술원에 HTML5 기반 통합 관리 시스템을 설치하는 계약을 맺은 바 있다. 

 

또 중국 과학기술단지의 임대 및 분양 관리를 체계화한 패키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이를 청화자광유니그룹 내 100여개 계열사와 북대청조그룹, 중국 국가과기원 3천여곳에 공급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향후 중국 내 공공기관, 국영 그룹, 일반기업, 교육기관, 병원 등을 대상으로 판매에 나설 예정이다. 

 

최 대표는 이를 통해 매달 수십억원의 사용료를 거둬들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수많은 기업이 중국 시장에 소프트웨어를 판매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으나, 대부분이 실패한 만큼 쉬프트정보통신의 성공 사례는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최 회장은 "물꼬를 트기 위해 무턱대고 중국에 갔을 때만 해도 기관 관계자를 만나는 일조차 쉽지 않았다"며 "사전에 중국의 문화를 이해하고 다가갔다면 좀 더 쉽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이어 "판교테크노밸리 내 기업은 글로벌 기업과 비교했을 때 전혀 뒤떨어지지 않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에서 고생했던 것처럼 국가의 문화, 기업 정보 등에서 부족한 면을 보이고 있다"며 "이런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만든 것이 1조 클럽이다. 다양한 정보와 경험의 공유를 통해 모든 회원사가 전 세계를 대표하는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담/신창윤부장 shincy21@kyeongin.com글/이준석기자 ljs@kyeongin.com사진/김금보기자 artomate@kyeongin.com

■최영식 회장은?

▲ 1961년 전라남도 진도군 출생

▲ 2000년 벤처기업대상 중기특위위원장상 수상

▲ 2005년 정보통신부 주관 '신SW 상품대상' 선정

▲ 2012년 중소기업분야 대한민국 신지식인상 대상


▲ 2013년 중소기업인대회 국무총리 표창

▲ 2013년 신성장동룍산업 대통령 표창

▲ 2014년 창조경영인 대상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표창


▲ 2015년 기획재정부 장관 표창

▲ 2019년 (사)판교테크노밸리 1조클럽협회 초대 회장 취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