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편2.00_03_12_27.스틸 002

방위비 분담금·美 대선 등 불확실성 '의회외교'로 해법
세계은행·GCF·송도 청라 묶어 '녹색금융허브'로 조성
2020071401000644100030702



"상임위원장을 맡기까지 고민이 많았지만, 한반도 평화를 지키는 데 힘이 되고자 결심했다."

인천지역 최다선(5선)인 송영길(인천 계양을·사진)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은 국회 상임위원장 중 '최고참' 위원장이다. 다선·중진으로 모범 상임위를 꾸려 나가야 하는 부담감도 가지고 있고, 남북 문제와 북미·한미관계 등 난제를 헤쳐나가야 하는 책임감도 가지고 있는 듯했다.

14일 경인일보와 가진 인터뷰에서 그는 "'외교의 실패는 전쟁'이라는 생각으로 2년간 외교통일위원회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그는 무엇보다 "기로에 선 남북 관계,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복원시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자신감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미국 방위비 분담금 문제, 미국 대통령 선거 등 불확실성이 많은 문제에 '의회외교'를 통해 합리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의 WTO 사무총장 배출에도 의회차원에서 뒷받침하겠다"고 천명했다.

과거 노무현 정부 때 UN사무총장을 배출했던 것처럼 국제사회에서 국격을 높이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이다.

문재인 정부와의 관계 설정에 대해 그는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의 완성을 위해 뒷받침하겠다"고 역설했다.

그는 "2019년 2월 하노이 회담 이후 남북미 간의 대화가 잠시 멈춰있지만 문 대통령이 제안한 '3차 북미 정상회담' 추진을 포함, 한반도 평화를 위해 정부가 앞으로 더 나아갈 수 있도록 위원장으로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코로나 19사태에 대해) K-방역 성과를 발판삼아 글로벌 기업들이 국내에 많이 유치될 수 있도록 온 힘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재임기간 동안 챙길 현안에 대해 그는 "인천시장 시절 유치했던 세계은행과 세계녹색기후기금(GCF), 하나금융타운 본사 이전을 계기로 송도와 청라가 국제 금융단지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들 3자가 연계된 녹색금융허브를 조성, 홍콩사태의 반사이익을 노리겠다는 구상도 내비쳤다.

또 "영종도와 신시모도 연결, 강화 동주농장 연결 다리완성을 통해 개성·해주·인천의 한강 3각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계양테크노밸리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 그린벨트 규제로 재산권 행사에 제약을 받아왔던 주민들이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