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하루 확진자 수가 1천200명을 넘어섰다. 지난해 12월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많은 수치로, 4차 유행에 대한 우려가 커진다. 하루 1천명을 넘어선 경기·인천·서울 등 수도권 지역이 특히 심각하다. 백신 접종률이 낮은 20·30대에서도 확산 추세가 가파르다. 정부는 현행 거리두기를 1주일 연기하고 상황에 따라 단계 상향도 검토하기로 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7일 방역 강화를 지시하고 방역 수칙을 위반할 경우 무관용 원칙을 강력하게 적용하라고 강조했다. 지자체가 상황 변화에 따라 자체적으로 방역기준을 강화하는 등 위기감이 높아지는 상황이다.

정부 방침에 따라 수도권은 4인 이상 모임이 계속 금지되고, 음식점 등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시간도 오후 10시로 제한된다. 8일부터는 수도권에 2단계가 적용돼 6인까지 사적 모임을 허용하고 영업시간도 자정까지 허용하기로 했으나 유예됐다. 상황에 따라 더 강화된 조치가 발령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와 별도로 정부는 총력 대응으로 재확산을 막는다는 구상이다. 수도권에서의 코로나 감염이 20·30대에서 급증하는 만큼 이들의 예방적 진단검사를 강력 권고하기로 했다. 이스라엘과의 백신 스와프로 확보한 백신 물량을 서울과 경기에 집중적으로 제공하기로 했다.

하지만 코로나 재확산 추세는 쉽사리 꺾이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백신 물량이 충분치 않아 접종률이 정체 상태인 것도 걱정이다. 직장과 학교, 백화점 등 일상 공간 곳곳에서 집단감염이 속출하는 데다 전파력이 센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까지 확산하고 있다. 정부가 백신 접종을 과신해 정책적 실착을 했다는 비판도 있다. 지난 4월 이후 대유행 조짐이 여전한데도 거리두기 단계를 완화하면서 방역의식이 느슨해지는 등 잘못된 메시지를 줬다는 거다.

8일부터는 방역수칙을 한 차례라도 위반한 시설이나 업체는 10일간 운영을 중단해야 한다. 정부는 현 단계를 유지하면서 강력한 법 집행과 생활 방역으로 대유행을 막겠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방역 전문가들은 대유행을 막을 더 강력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정부는 4차 유행이 이미 시작된 만큼 빠른 시일에 거리두기 단계를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기 바란다. 일시적인 생활불편과 경제적 손실 우려가 4차 대유행을 막아낼 강력한 방역 대책에 걸림돌이 돼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