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서북부지역 최대 현안으로 꼽히는 일산대교 통행료 부담 문제가 해결 조짐을 보이고 있다. 경기도가 통행료 인하를 위해 서북부 지자체와 예산을 분담하는 방식의 인수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진 때문이다. 아직 구체화 된 방안은 없지만,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지자체 간 합의가 잘 된다면 지역 주민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이다.

일산대교는 한강 27개 교량 가운데 유일하게 유료도로로 운영되고 있다. 통행료도 1㎞당 652원(1종 소형 기준)으로 도내 타 민자 도로보다 3~5배 비싸다. 이 때문에 일산대교의 통행료 무료화를 위한 고양과 김포, 파주 등 경기서북부지역 주민들 중심으로 시민운동이 전개됐다. 도지사와 해당 지자체장, 지방의회, 시민들로 구성된 시민단체연합 등이 통행료 무료화를 위해 활발하게 움직였다. 올해 초 이재준 고양시장은 통행료 무료화를 위해 국민연금공단과 경기도 및 관련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포문을 열었다. 이어 고양, 김포, 파주 등 3개 지자체장은 '일산대교 무료화 촉구 공동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성명서에는 교통권 확대를 위해 설치된 일산대교가 높은 통행료를 징수하며 시민들의 교통권을 침해해 왔다며 무료화를 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재명 도지사도 도가 인수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고, 자금 조달을 합리화해 과도한 부담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우선 국민연금공단과의 협상이 원활하게 진행돼야 한다. 일산대교 지분 100%를 보유한 공단의 입장에 성사 여부가 달렸기 때문이다. 공단은 수익성 증대 원칙이 훼손되면 안 된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가 통행료를 결정했다는 점도 통행료 인하에 부정적이다. 수천억원대로 추정되는 인수비용 마련 방안도 부담 요인이다.

결국 국민연금공단과의 협의와 분담률을 놓고 지자체 간 수 싸움이 불가피해 보인다. 하지만 일산대교 통행료 인하는 경기도 서북부권 주민들의 오랜 염원이다. 지역 특성상 일산대교 통행료 부담이 주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빠른 시일에 이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는 게 주민들 바람이다. 관련 기관들이 합리적인 판단을 바탕으로 협상에 임해 통행료 인하 방안을 이끌어내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