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도시산업선교회 존치를 둘러싼 갈등이 해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인천시가 주택재개발 사업으로 철거 위기에 놓인 인천도시산업선교회(현 '미문의 일꾼' 교회) 존치를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 구성에 나섰기 때문이다. 인천시는 21일 인천도시산업선교회 측과 간담회를 열어 재개발조합, 교회, 관련 전문가들로 구성된 협의체를 꾸려 관련 사안을 상시 논의하기로 했다. 비록 재개발 사업 절차가 승인·고시됐지만, 교회 철거 문제는 모든 가능성을 두고 협의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인천시의 협의체 구성을 통해 사태 수습의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되지만 몇 가지 중대한 행정난맥도 드러났다. 예측가능하지 않은 행정은 문제였다. 인천시는 지난 18일 일꾼교회측과 원만한 합의안 도출에 노력하겠다고 보도자료까지 내보낸지 하루 만인 19일 전격적으로 관련 재개발 사업을 승인고시했다. 인천시의 합의 중재 약속을 계기로 범시민대책위원회는 김정택 목사의 단식 중단과 대화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나섰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재개발사업 결정고시로 인해 분위기는 경색되고 인천시에 대한 불신과 반발만 키웠다.
주요 시정 현안에 대한 보고 체계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인천도시산업선교회 존치문제는 최근 한달간 인천시민사회의 중요 현안이었다. 감리교회를 비롯한 기독교 단체, 100여개의 인천지역 시민단체들이 범시민대책위를 구성하여 존치를 위한 공동대응에 나서면서 지역사회뿐 아니라 전국적인 관심사로 떠올랐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동향 보고가 시장에게 그동안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논란과 관련된 인천시도시계획위원회의 결정도 돌아봐야 한다. 동구 화수·화평 재개발정비사업 구역에 현대건설이 지하 3층, 지상 29층 규모의 공동주택 3천183세대를 짓는 사업이다. 설계변경 등을 통해 도시산업선교회를 존치할 수 있는 방법을 요구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표지석 설치' 등 극히 형식적 단서를 달아 재개발사업을 통과시킨 것이다. 그동안 인천시는 역사문화자산에 대한 경시로 인해 애경사 철거, 인천가톨릭회관 철거 등의 건축자산 및 산업유산 멸실과 관련된 갈등이 반복되어 왔다. 원도심의 문화적 도시재생은 원도심 주민은 물론 인천시의 도시 자산관리를 위해서도 필요한 정책이다. 이와 관련하여 도시계획위원회의 운영과 구성은 과연 적절한지 되돌아봐야 할 때이다.
[사설] 도시산업선교회 갈등 자초한 인천시 행정
입력 2021-07-22 20:11
지면 아이콘
지면
ⓘ
2021-07-23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