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이 주자들 간의 네거티브로 얼룩지면서 기본소득을 제외하곤 이렇다 할 정책 논쟁을 찾아볼 수 없는 퇴행적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선두주자인 이재명 경기지사와 이낙연 전 대표의 충돌이 도를 넘고 있다. 이 전 대표가 '민주당 적통론'을 제기하고 이에 맞서 이 지사가 '이 전 대표의 2004년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찬성 가능성'을 제기한 이후 두 후보 간에 지역주의 공방까지 벌어지고 있다.
'적통론'은 현대사회와 맞지 않는 구태한 주장이다. '적통'이라는 단어 자체가 대의제 민주주의와 어울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민의 상당수가 정권교체를 바라는 여론조사 결과를 애써 무시하는 태도로 읽힐 수 있다. 이 지사가 제기한 노무현 탄핵 찬성 여부도 무의미하기 이를 데 없는 주장이다. 당시 투표가 무기명 투표이기 때문에 확인이 불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벌써 17년이 지난 일을 가지고 왈가왈부하는 것이 바람직한지는 스스로 돌아보면 알 일이다. 이 지사의 입장에서는 이 전 대표가 스스로를 '적통'으로 규정하지만 '적통'은커녕 노 전 대통령 탄핵까지 찬성했다는 사실을 부각시키기 위한 것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이도 모자라 이 지사와 이 전 대표, 정세균 전 총리, 김두관 의원은 이 지사의 '호남 발언'을 두고 지역주의 공방까지 벌였다. 이 지사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한반도 5천년 역사에서 백제 쪽이 주체가 돼 한반도 전체를 통합한 때가 한 번도 없었다. (이 전 대표가)이긴다면 역사라고 생각했다"라고 밝히면서 "결국 중요한 건 확장력"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가 "영남 역차별 발언을 잇는 중대한 실언", "용납 못 할 민주당 역사상 최악의 발언, 정치적 확장력을 출신 지역으로 규정하는 관점은 사실상 일베와 같다"라며 맹공에 나섰다. 영남 출신인 김두관 의원은 이 전 대표와 정 전 총리를 향해 "지역주의를 불러내지 말라"고 비판했다.
후보들 각자의 출신지역과 정치적 이익에 따른 발언임을 모르는 바 아니고, 일정 부분 네거티브가 불가피한 선거지형을 이해한다고 해도 최근의 민주당 후보들 사이의 도 넘은 공세는 이들이 과연 집권당 대선 후보인가를 의심케 한다. 경선이 가열될수록 상호비방은 더 거칠어질 공산이 크다. 그러나 후보들은 정책과 공약을 통해 미래지향적 청사진을 제시하는 쪽이 최종 승리를 거머쥘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사설] 민주당 대선 후보 네거티브 공방 도를 넘었다
입력 2021-07-25 20:11
지면 아이콘
지면
ⓘ
2021-07-26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