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을 방문한 여야 대통령 경선 출마 후보자들이 수도권매립지 문제에 대해 연장론을 주장하고 나섰다. 국민의힘 대통령 경선 출마 후보인 홍준표 국회의원은 18일 인천을 방문, 기자간담회에서 매립지 종료에 대해 "지자체장끼리 협의해 수도권매립지를 계속 사용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앞서 지난 8일 인천을 방문한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경선 후보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도 "2025년 대체 매립지를 만드는 것은 냉정하게 볼 때 쉽지 않다"고 했다.

이 지사와 홍 의원은 매립지 연장을 언급하면서 보상론을 함께 제시했다. 이 지사는 "특별한 희생에 대해 특별한 보상을 해야 한다"는 원칙을 강조했다. 대체매립지 건설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니 정부 차원에서 특별하고도 충분하게 보상하자는 제안을 했다. 홍 의원은 "매립지를 계속 사용하는 대신 사용료를 자치단체에 대폭 부담하게 해서 인천의 희생에 보답해야 한다"고 했다.

대선 주자로서 자신의 정책적 입장을 공론장에 올려놓고 명확하게 밝히는 것은 바람직한 태도다. 아쉬운 것은 매립지로 인해 수십 년 동안 겪은 인천 시민들의 고통에 대한 여야 주자들의 고민이나 애정이 없어 보였다는 점이다. 이 지사나 홍 의원의 말을 좋게 듣자면 "인천 시민들의 희생에 충분히 보상하는 것은 마땅하다"는 취지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인천시민 입장에선 "그냥 하던 거 계속 하면 돈 더 주겠다"는 얘기로 들린다.

인천 시민들이 겪는 고통을 얼마로 계산해야 충분할까. 그동안의 고통에 공감하기에 앞서 충분한 보상을 내세우니 섭섭하게 들릴 수밖에 없다. 매립지 종료 문제가 경기도민이나 서울시민의 숙원이었다면 "돈 더 줄 테니 연장하라"는 얘기가 쉽게 나올 수 있었겠는가. 지역에서는 대선판에 흔들리지 않도록 매립지 종료에 대한 시민 공감대를 더욱 확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인천시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2025년 수도권매립지 종료를 선언했다. 서울시, 경기도, 환경부를 상대로 힘겹게 대응하면서 매립지 종료 의지를 피력하고 있다. 여야 대선 주자들이 모처럼 인천을 방문한 자리에서 "그냥 하던 것 계속하면 돈으로 보상하겠다"는 말보다 "얼마나 힘드냐, 방법을 찾아보자"는 말 한마디가 아쉬웠다는 얘기다. 인천시나 시민들이 매립지로 인해 겪는 피해를 돈으로 보상해달라고 매립지 종료를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