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국제도시 인천에서도 외국인 집단감염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외국인 노동자와 무등록 외국인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코로나 백신 접종이 시작돼 다행이다. 하지만 효과적인 방역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체계 확립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인천에서 이달 발생한 외국인 코로나 확진자는 390명(지난 24일 기준)으로, 전체 확진자(2천138명)의 18.2%를 차지했다. 인천 외국인 확진자는 올해 1월 43명, 2월 43명, 5월 15명, 6월 29명에서 4차 유행이 본격화하면서 7월 137명, 8월(24일까지) 390명으로 급격히 늘었다. 특히 4차 유행에 맞춰 지난달 인천에서 외국인 확진자가 급증했으며, 외국인 바이어와 종사자가 많은 인천 옥련동 중고차 수출단지에서만 70명 이상의 외국인이 집단으로 감염됐다.

인천 지역 등록외국인은 올해 5월 기준 6만5천680명이다. 인천 동구(6만1천530명)와 옹진군(2만319명)의 인구 보다 많다. 그러나 외국인 주민 인구는 지자체 행정 수요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자국민끼리 특정 지역에 밀집해 살면서 친목 모임이나 집단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고, 승합차를 타고 단체로 건설 현장 등을 이동하며 일하는 사람이 많아 집단감염 우려도 상대적으로 크다는 게 방역 당국의 설명이다.

또한 언어 문제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데다 미등록 외국인 등 신분이 불안정하다는 이유로 동선 파악을 비롯한 역학조사도 쉽지 않다. 방역 담당자는 정부 차원에서 통역 인력 배치로 의사소통 문제를 해결하는 등 일원화한 관리가 필요하며, 외국인 확진자 수용을 위한 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 추가 확대·운영도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인천시는 오는 9월17일까지 외국인들에게 백신 접종을 할 계획이다. 외국인 노동자와 함께 무등록 외국인까지 본격적으로 백신 접종이 이뤄지는 것이다. 지난 28일 시작된 인천 연수구의 경우 접종 첫날 495명이 백신을 맞았다. 연수구가 애초 계획한 600명에 이르지는 못했다. 그러나 연수구에 거주하는 1만2천여명의 외국인 중 이날 백신 접종자와 함께 2천여명은 백신을 맞았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우리 정부가 자랑하는 K-방역을 완성하고 인권 차원에서 접종에 차별이 없도록 세심한 배려를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