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1.jpg
사진은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한 수인분당선 분당차량기지. /경인일보DB
 

지난해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된 수인분당선 기흥~오산 연장선 계획(2021년 4월23일자 2면 보도=경기도, 50개 중 17개 '초안에'…7개 노선 추가 반영 가능성도)이 사전타당성조사를 시작한다. 재무타당성·경제성 등이 입증되면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에 올려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국가철도공단은 '분당선 연장(기흥~오산) 복선전철 사전타당성조사 용역'을 공고했다고 27일 밝혔다. 용역은 기초자료 분석, 지역 현황조사, 열차 운영계획, 총사업비·운영비, 수요, 경제·재무성 분석, 민자사업추진 가능성 등을 망라했다. 내달 17일부터 입찰서를 받고, 26일 개찰해 용역업체를 선정한다.  


복선전철 사전타당성 용역 공고
철도공단, 동탄인덕원선 등 연계
경제·재무성·민자 가능성도 분석


'기흥~오산 분당선 연장선'은 지난해 7월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면서 관심을 모았다. 총사업비 1조6천15억원을 투입해 수인분당선 기흥역과 수도권 지하철 1호선 오산대역을 잇는 총연장 16.9㎞ 철도사업이다.

일종의 수인분당선 지선 개념으로 전 구간 복선전철로 계획됐다. 역사 위치 등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이다. 지난해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이 발표되자 용인 기흥과 오산 사이에 위치한 화성 동탄 등 지역에선 역사 위치 등을 두고 뜨거운 논쟁(2021년 4월30일자 6면 보도=화성시 제안 3개 철도노선 국가계획 반영…지역민들 벌써부터 '역사 위치' 경쟁 시작)이 벌어지기도 했다.

철도공단은 이번 용역을 통해 최소 2개 이상의 대체 노선을 포함한 예비타당성조사 수준의 기초자료를 만든다는 계획이다. 동탄인덕원선을 비롯해 GTX, 용인경전철, 동탄트램 등 주변 노선과 연계한 최적화된 계획을 수립하겠다는 것이다.

사전타당성조사는 1년여간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재무적타당성(R/C)과 경제적타당성(B/C) 값을 면밀하게 산출하게 된다. 빠르면 내년 말쯤 대상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철도공단 관계자는 "국가철도망 계획에 포함된 만큼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올릴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진행하는 용역"이라며 "경제성·재무성을 비롯해 민자추진 가능성까지 분석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동필기자 phii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