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111101000467000020021.jpg
이소영 국회의원이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을 상대로 오봉역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대안 마련에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주문했다. 2022.11.11 /이소영 의원실 제공
2013년에도 똑같은 사망사고가 똑같은 현장에서 있었다. 수백억원을 들여서라도 전 이 현장(오봉역)의 개선이 이뤄져야 합니다.

더불어민주당 이소영(의왕·과천) 국회의원이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에게 "오봉역이 여객 태우는 역이 아니고 화물 전용이기에 내 지역구인데 안에 들어가 본 것은 처음이었다. (그곳은)1950년대 풍경이라고 해도 전혀 이상할 게 없는 대한민국 대표 공기업 코레일에 이런 노후하고 열악한 사업장이 존재한다는 게 믿기지 않는 현장이었다"고 운을 뗐다.

이 의원은 이어 "오봉역 안에 양회단지가 있고, 사고 현장은 한일선·현대선·성신선 등 3갈래 선로가 깔려 있는 곳으로, 돌아가신 분은 수동 선로 전환기 버튼을 직접 누르고 성신선 끝쪽에서 작업을 하기 위해 급하게 이동하다가 열차에 치여 사망했는데 사고 현장을 촬영하는 CCTV가 한 대도 없다"며 "노동조합도 유족도 입을 모아 얘기하는 게 3인1조로 한 사람만 더 있었어도, 또는 열차 선로 옆 인도공간만 제대로 있었어도 이번 사건이 절대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는데, 사고 현장을 직접 본 입장에서 저 역시 100% 동의한다"고 지적했다.


국토부와 코레일의 사고 원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분석도 도마 위에 올랐다.

이 의원은 "사고 직후 어명소 (국토부 2)차관이 현장에 가서 '관행적 안전 무시 작업 태도를 타파하도록 쇄신해야 한다', '안전에 둔감한 작업 문화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는데, 이런 (열악한) 현장에서 노동자를 일하게 해놓고 무슨 작업 태도를 어떻게 바꾸라는 것인가"라며 "사실상 (사고현장에) 인도가 존재하지 않아 노동자가 선로 위에 있으면 안 된다는 것을 알면서도 선로 (위를) 걸어 다닐 수 밖에 없는데 무슨 문화를 어떻게 바꾸면 이런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냐"고 꼬집었다.

이 의원은 2013년 같은 현장에서의 사망사고가 발생했다는 사실에 이어 2018년 산업안전협회측의 오봉역 안전진단결과 보고서에서도 열악한 근로 환경을 거론한 뒤 "오봉역 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사업 예산을 요구했는데, 장관부터 코레일 사장까지 직접 발로 뛰어 관련 예산의 (즉각적인) 반영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원 장관은 "사고 현장에 안전 공간이나 시야 확보나 여기에 대해서 위험 요소들을 통제할 수 있는 여러 모니터링이나 조절장치, 시설 문제 등을 전반적으로 철저히 조사하고 있다"며 "그 결론에 따라 필요한 조치들을 하겠다"고 답했다.

의왕/송수은기자 sueun2@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