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지난 26일 오후 안양시청 상황실에서 '경기도 청년정책 중간지원조직 확대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2023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를 진행했다. 2023.5.26 /경기도의회 제공

경기도와 경기도의회가 청년정책 개발과 지원 확대를 위한 조직 운영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머리를 맞댔다.

도와 도의회는 지난 26일 오후 안양시청 상황실에서 '경기도 청년정책 중간지원조직 확대 방안 모색 토론회'를 주제로 2023 경기도 정책토론대축제를 진행했다.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소속 장민수(민·비례) 의원이 좌장을 맡았고 3명의 패널이 참석해 견해를 나눴다.

먼저 조은주 경기청년지원사업단 단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민선 8기 경기도가 청년과 관련된 정책을 단순히 수혜자 관점이 아닌 권리의 주체로 바라보는 만큼, 관련 조직의 역할 분담과 소통 강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조 단장은 "경기도는 17개 시도 중 3번째로 빠르게 청년기본조례를 제정했다. 이후 경기도의 청년전담 부서인 청년복지정책과가 신설되고, 2020년 경기청년지원사업단의 신설, 지난해 12월에는 부서가 '청년기회과'로 조직개편 됐다"며 "청년정책을 적극적 지원하고 제약 해결과 차별을 시정하는 경기청년지원사업단은 도가 경기도청 구청사로 이전하고 청년포털을 구조개편하는 등 많은 발전을 이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청년기회패키지 사업 등 민선 8기 도가 많은 청년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는데, 사업의 내실화를 위해 중앙, 광역, 기초단체 등 전달체계 간의 소통, 교류강화와 31개 시군에 마련된 청년공간·센터의 지원 확대 등이 이루어져야 청년의 자치, 자립, 자생의 생태계를 만드는 청년정책 중심 조직을 만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가위 장민수 의원·패널들 토론
관련조직 역할분담·소통강화 공감
'예산 태부족' 역량 집중해야 강조


패널들도 경기도 청년정책이 도내 청년들에게 제대로 전달되기 위해선 중간지원 조직에 대한 안정된 운영과 청년공간 활성화가 필요하다는 데에 의견을 모았다.

이세라 경기청년참여기구 공동대표는 "경기도 청년 인구는 279만명이며 전국 청년 인구의 4분의 1이다. 청년참여기구는 청년 정책을 발굴하고 모니터링하고 역량강화를 위해 달리고 있지만, 관련 예산과 지원은 한참 부족한 상태"라며 "서울, 대구 등 다른 광역단체들은 중간지원조직에 대한 지원, 전담 인력 등이 한참 앞서 있다. 경기도가 인구와 정책 규모에 맞는 규모로 지원을 집중해야 한다"고 짚었다.

끝으로 좌장을 맡은 장민수 의원은 "경기청년지원사업단의 존속과 지속가능한 구조 필요성이 언급되고, 청년정책 중간지원 조직에 대한 종사자들의 안정적인 근무환경과 직무에 최적화된 근속체계가 필요한 상황이다. 시군의 청년공간 역할과 체계도 확립돼야만 청년정책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고건기자 gogosing@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