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8월 마지막 주 워크숍에서 김은경 혁신위원회가 제안하는 대의원제 폐지·축소와 관련해 '끝장 토론'을 펼칠 전망이다.

8일 민주당에 따르면 정기국회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워크숍을 28~29일 1박 2일 일정으로 강원도 원주에서 진행한다.

혁신위가 정기국회 전 오는 20일 활동을 마무리하기로 한만큼 이번 워크숍에서 혁신안 수용 여부 등이 주요 안건으로 의원들의 토론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애초 혁신위는 8일 오후 혁신안을 발표할 예정이었지만 당내 반발이 커 발표일 뒤로 미뤘다.

10일로 미뤄진 혁신안 발표에는 권리당원-대의원 비중 조정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혁신위가 지난 2일부터 8일까지 의원과 당직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 내용에는 민주당 대의원 제도와 전당대회 관련 질문이 다수였다.

이를 설문내용 결과를 수합해 혁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다만 혁신안의 내용을 당이 얼마나 수용할지는 미지수다. 대의원제 축소는 친명계와 비명계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비명계는 대의원제 축소로 이 대표 강성 지지층 입김이 지금보다 커질 것으로 봤다.

비명계 이원욱(화성을) 의원은 "지난 세 번의 선거에서 대의원이 선거 패배의 주요 원인이었다면 당연히 혁신의 대상이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반면 찬성 측은 표의 등가성 문제 해소를 이유로 대의원제 폐지 혹은 축소를 주장하고 있다. 지난해 전당대회에선 권리당원 40%, 대의원 30%, 여론조사 25%, 일반당원 5%의 비율로 당 대표를 뽑았다.

대의원의 수가 약 1만6천~1만7천명으로, 대의원 약 120만 명의 1% 수준임을 감안하면 대의원 1명의 표가 약 60명의 권리당원 표와 맞먹는다.

이 같은 표의 등가성 문제를 해소해야 한다는 것이다. 원내 지지 기반이 약한 대신 새로 유입된 지지자들이 많은 이 대표 지지 기반의 특성상 대의원제 폐지 혹은 축소가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