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경기도당이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 음식점에서 경기도 국회의원 및 원외 당협 위원장 연석회의를 개최한 가운데 중앙당 사무처 출신의 한 원외 인사가 도당 관계자에게 언론 취재를 막도록 지시한 사실이 알려져 눈총을 샀다.
취재 사전협의 불구 '소속' 묻고
회의장 주변 얼씬도 못하게 막아
회의장 주변 얼씬도 못하게 막아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연석회의는 송석준(이천) 경기도당위원장, 최춘식(포천 가평) 의원 등 경기도 각 시군 당협 관계자 등 37명이 참석해 비공개로 진행됐다. 송석준 도당위원장 취임 후 마련된 첫 회의로 각 지역의 시급한 현안을 듣고 전달하는 상견례 형식의 자리였다.
문제는 회의가 진행되던 중 함경우 광주갑 당협 위원장이 회의장 밖에서 대기하고 있던 취재기자를 회의장 주변에 얼씬도 못 하게 조처하면서다. 함 위원장은 다른 당협 위원장들과는 달리 자신의 소속은 밝히지 않은 채 인상을 쓰며 기자에게 '어디 소속인지'를 따져 묻고는 곧바로 도당 관계자를 시켜 음식점 바깥으로 기자의 퇴장을 지시했다. 해당 기자는 회의 시작 30분 전부터 현장에서 취재 기자임을 밝혔고, 회의가 끝날 때까지 밖에서 대기 후 회의 주요 내용을 구두로 전달받기로 사전에 협의가 된 상태였다.
그는 현재 송석준 도당 체제에서 아무런 당직을 맡고 있지 않다. 그런데도 함 위원장은 경기도당 측 의사와는 전혀 무관하게 기자를 현장 밖으로 내보낼 것을 도당에 요구했다. 그는 과거 경기도당 사무처장을 지냈고, 소위 '윤핵관'(윤석열 대통령 핵심관계자 지칭)과 가까운 인사로 알려진 만큼 도당 측도 그의 요구를 거부하기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보통 도당 연석회의의 경우 도당 위원장 모두발언은 공개하고, 이후 현안과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는 비공개로 전환하는 게 관례다. 하지만 함 위원장은 특별한 이유 없이 "안에 회의 내용이 밖에 들리니 그러는 것"이라고 했다.
회의내용 정상적 전달되기 보다
'오점'만 남겨 당내 부담 느낄듯
이런 행동으로 송석준 도당 체제의 공식 행사인 첫 연석회의 내용이 정상적으로 전달되기는커녕 '오점'만 남게 돼 당에서도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를 비롯해 수도권 총선 '위기론'이 제기되고 있는데, 함 위원장의 이같은 언행으로 '긴장감'을 찾을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어서다. 도당 관계자는 "비공개회의를 하면 국회에서도 기자들은 밖에서 대기하면서 취재를 하는데 (함 위원장이) 왜 이런 반응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21대 총선 때는 고양을에 공천돼 낙선했지만, 이후 사고지구당 공모를 거쳐 지역구를 광주갑으로 옮긴 특이한 케이스를 보유한 원외 인사로 알려져 있다.
송석준 경기도당 위원장은 회의 중간에 이런 사실을 인지하고 당협 위원장 앞에서 "언론의 취재를 막으려 하면 되겠느냐. 우리가 진행하고 있는 일들을 언론과 항시 소통해 국민에게 알리려고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일침을 가했다.
한편 경기도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연석회의를 시작으로 권역별 회의 등을 수시 개최해 지역별 맞춤형 공약 발굴 및 현안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점'만 남겨 당내 부담 느낄듯
이런 행동으로 송석준 도당 체제의 공식 행사인 첫 연석회의 내용이 정상적으로 전달되기는커녕 '오점'만 남게 돼 당에서도 부담을 느낄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를 비롯해 수도권 총선 '위기론'이 제기되고 있는데, 함 위원장의 이같은 언행으로 '긴장감'을 찾을 수 없다는 지적이 나올 수 있어서다. 도당 관계자는 "비공개회의를 하면 국회에서도 기자들은 밖에서 대기하면서 취재를 하는데 (함 위원장이) 왜 이런 반응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21대 총선 때는 고양을에 공천돼 낙선했지만, 이후 사고지구당 공모를 거쳐 지역구를 광주갑으로 옮긴 특이한 케이스를 보유한 원외 인사로 알려져 있다.
송석준 경기도당 위원장은 회의 중간에 이런 사실을 인지하고 당협 위원장 앞에서 "언론의 취재를 막으려 하면 되겠느냐. 우리가 진행하고 있는 일들을 언론과 항시 소통해 국민에게 알리려고 해야 하지 않겠느냐"고 일침을 가했다.
한편 경기도당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이번 연석회의를 시작으로 권역별 회의 등을 수시 개최해 지역별 맞춤형 공약 발굴 및 현안 해결에 집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