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내항의 기능 변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인천 내항의 기능이 점차 신항(송도국제도시)으로 이전하는 데 따른 대응책으로 항만관련 기관들의 송도 이전이 가속화하고 있다. 인천세관의 송도 이전으로 신항의 기능은 확충되겠지만, 항만관련 기관과 기업, 보세창고와 같은 물류 인프라가 내항에서 계속 빠져나가면서 중구의 급격한 기능 변화가 초래되고 도심 쇠퇴도 우려되고 있는 것이다.

인천 내항을 상징하는 인천본부세관은 중구 항동7가에 있는 인천세관 청사를 2029년까지 송도 11공구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부터 청사 이전을 위한 행정 절차를 본격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지난 2020년 중구 신흥동에서 송도로 청사를 옮겼다. 일부 물류기업들도 송도 이전을 완료한 상태이다.

내항과 중구의 도시 기능 변화에 대비한 인천시의 전략은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통해 새로운 투자 유치와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이 구상은 해양수산부가 소유하고 있는 인천 내항 일대 181만㎡를 인천시 소유로 전환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한 뒤,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지는 해양 관광과 레저문화 및 쇼핑산업 중심의 하버시티로 만들겠다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이다.

그런데 취임 1년여가 경과했지만 지역사회 발전을 이끈다는 구호만 요란할 뿐이라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인천항 내항 재개발사업이 생활 여건이 낙후된 중구와 동구지역 발전과 어떻게 연계되는지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다는 비판도 있다. 내항에 재개발의 효과가 동인천과 동구로 확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배후지역의 쇠퇴를 초래하는 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내항과 중구의 역사 문화유산을 활용하면서 배후지역과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청사진을 내놓아야 한다.

내항 기능 변화로 인한 부작용은 이미 나타나고 있다. 내항 일대는 갈수록 그 기능 축소에 따라 내항 구도심에 집중돼 있던 보세창고가 이전하자 그 자리에 쿠팡을 비롯한 전자상거래회사의 17개 대형 물류창고가 우후죽순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새로 들어선 창고는 대부분 대형 물류창고들이다. 대형 화물차의 운행과 교통량 급증 등으로 주거여건을 급격히 악화시킬 뿐 아니라 인천시가 구상하고 있는 해양관광·문화레저산업과 조화를 이루기 어려운 기능들이다. 대형 창고 난립 대책은 당장의 과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