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14년째 지지부진한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최근 iH(인천도시공사), 특수목적법인 (주)인천로봇랜드와 '합의 약정'을 체결했다. 합의 약정은 산업용지 등 로봇산업진흥시설, 테마파크(유원시설), 상업용지, 업무용지 등으로 구성된 로봇랜드의 지지부진한 사업 속도를 높이기 위한 조치다. 합의에 따라 로봇랜드 부지(76만9천279㎡) 소유주인 iH는 인천시와 공동 사업시행자로 로봇랜드 조성사업에 참여한다. 로봇랜드 사업 전체를 맡았던 (주)인천로봇랜드는 앞으로 사업시행자가 위탁하는 범위 내에서 로봇랜드 조성·관리·운영 등 업무를 수행하고, 테마파크 사업계획 등을 수립하는 역할을 맡는다.
인천로봇랜드는 2009년 청라국제도시에 사업 대상지 지정과 함께 '미래형 테마파크'를 내세운 국책사업으로 선정됐다. 그러나 부동산 경기 침체와 사업성 부족 등으로 14년째 공회전 중이다. 블루오션처럼 보이던 로봇산업은 그동안 타 지자체도 뛰어들면서 경쟁구도로 바뀌었다. 때문에, 총사업비 7천113억원 규모의 인천로봇랜드는 '테마파크 중심'에서 '로봇산업 클러스터 조성'으로 무게 추를 옮겼다. 인천시는 2020년 산업통상자원부의 승인을 받아 사업성 개선을 위한 실행계획을 변경했다. 국내외 로봇산업 지형을 반영한 차별화된 사업 전략을 제시하기 위해서였다. 재기획한 인천로봇랜드 조성 실행계획(토지이용계획)에서 산업용지인 로봇산업진흥시설 비율을 기존 6%에서 32.5%로 끌어올렸으며, 테마파크 비율은 45%에서 21.1%로 낮췄다.
인천시는 이르면 내년 중 로봇랜드 기반시설 조성을 시작할 계획이다. 하지만 주요 기업 유치와 테마파크 계획 수립 등 사업이 정상 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갈 길이 멀다는 지적이다. 다만 이번 합의 약정으로 iH가 인천시와 공동 사업시행자로 참여하게 되면서 효율적 사업 추진이 가능해질 것이란 기대감은 나온다. 그동안 지분 출자자 지위였지만, 공동 사업시행자로 역할이 강화된 iH가 개발 경험을 살려 사업을 안정적으로 추진하고 공공성 확보에도 도움을 줄 것이란 전망이다.
인천시는 로봇랜드 조성사업의 장애요소를 과감하게 정리하고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 나가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중 '첨단로봇 산업 전략 1.0'을 마련해 첨단로봇산업 경쟁력 강화 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인천시로선 '첨단로봇 산업 전략 1.0' 또한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사설] 속도 높여야 할 인천로봇랜드 조성사업
입력 2023-08-29 19:41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8-30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