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극단적인 선택을 한 서울 서이초등학교 교사 49재인 4일 전국 교사들이 추모제를 열었다. 교사들은 추모제를 '공교육 멈춤의 날'로 명명했다. 이날 오전 서이초등학교, 전국 시·도교육청, 국회 앞에서 교사들은 교권회복을 한 목소리로 외쳤다. 일부 학교는 임시휴업을 했고, 연가와 병가를 내고 집회에 참석한 교사들이 주최측 추산 10만여 명이다.

교사들이 서이초 사태 이후 매주 이어왔던 주말 추모집회를 평일 교권회복 집회로 전환한 것은 단 하루 공교육을 멈춰세우더라도 학교를 정상화해야 한다는 교직의 양심에 연대한 결과이다. 교단 붕괴가 공교육을 멈출 지경에 이르렀다는 절규이다. 교육부는 공교육 붕괴 현실에 집중해야 마땅하다. 재량휴업, 연가·병가의 불법을 따지는 미시적 대응은 공교육 정상화 담론에 비해 가소롭다.

교사들의 순수하고 자발적인 교권회복 운동에 놀란 여야 정치권이 관련 입법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학생 인권에 목을 매던 진보교육감들도 대경실색해 교사들 목소리에 귀를 기울인다. 교육부는 교사들의 교권회복 운동을 공교육을 개혁할 천우신조로 받들어야 한다. 공교육 역사를 바꿀 명분을 휴업·휴가의 적법성 시비로 가리면 무능하다. 교육 주체가 참여하는 공교육 정상화 협의체를 꾸려야 한다. 졸속 입법으로 교권을 강제하는 방식이 아니라, 교사·학생·학부모가 공존하는 공교육 현장을 새롭게 설계해야 한다.

교육부가 당장 할 일은 따로 있다. 전국 교사들의 심리상담과 고충처리이다. 3일 용인시 한 고교 교사가 또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수업 중 사고로 다친 학생의 학부모가 학교엔 감사를 요구했고, 경찰엔 형사고소를 했다. 정년을 1년 앞둔 원로 교사였다. 앞서 군산과 고양시에서 발생한 두 교사의 비극도 있었다. 불과 나흘 사이에 세분 선생님이 극단적인 선택으로 학교를 떠났다.

서이초 교사와 같이 교내 사건·사고에 휘말려 아무런 지원 없이 홀로 고민하고 고통받는 교사들이 많다는 증거다. 웹툰 작가와의 법정 다툼이 공론화되자 경기도교육감이 복직시킨 특수교사의 사례는 그야말로 특별한 예외일 뿐이다. 교육부는 당장 전국 교사들을 상대로 심리상담 지원에 나서고, 학교 현장에 묻혀 드러나지 않은 교사들의 억울한 고충을 공적으로 해결하고, 방안이 없으면 대책을 세워야 맞다. 할 일은 안 하고 징계 운운할 일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