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90701000299800013041.jpg
22일 경북 포항 해병대 1사단 체육관인 '김대식관'에서 열린 고 채 상병 영결식에서 영현이 입장하고 있다. 채 상병은 지난 19일 오전 9시께 예천 내성천에서 실종자를 수색하던 중 급류에 휩쓸려 숨졌다. 2023.7.22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7일 수해 구조 중 순직한 고(故) 채 상병 사망 사건 수사 외압 의혹과 관련 특검법을 발의했다.

민주당 해병대원사망사건진상규명TF와 국방위원회·법제사법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와 국방부의 수사외압, 은폐 의혹이 전혀 해명되지 못한 만큼 특검의 필요성을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들은 "국가를 위해 순직한 해병의 억울한 죽음에 대한 진상규명과 엄정한 책임자 처벌은 법과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라며 "국민은 해병 대원 사망사고에 대한 진상규명과 군 검찰단의 수사가 공정하게 진행될 수 있는지에 대해 이미 의문을 품고 있다"고 특검법 발의 취지를 설명했다.

특검법은 채 상병 사망사건과 관련된 대통령실, 국방부(군검찰단·군법무관리관실·조사본부 등), 해병대 사령부, 경북지방경찰청 등을 수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대한변호사협회이 4명이 특검후보자를 추천하면, 대통령이 소속되지 않은 교섭단체가 2명의 후보를 추천하고 대통령이 이중 한 명을 임명하는 방식이다. 특검 활동 기한은 준비기간과 연장기간을 포함해 최장 120일까지로 했다.

박주민 의원은 "당론화하는 작업이 1차적으로 있어야하고 여당과 (특검 대상에 대한) 합의가 있어야 된다"며 "대한변협에서 네 명 추천하는 방식이 과거 여러 번 쓰였다. 공정성 대해서 아마 여당도 문제제기 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기동민 의원도 "박정훈 수사단장을 부당한 외압과 항명죄로 옭아매서 채 상병 사건의 진실을 덮으려고 하면 그것이 바로 윤 정부 공정과 상식 죽었다는 것을 상징한다"며 "몰락의 신호탄이 될 수 있다 경고한다"고 했다.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우려에 대한 질문에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특검법 거부권을 행사한다면 외압의혹을 자인하는 것이라 볼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8일 의원총회를 열고 특검법 당론 채택을 논의할 예정이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