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에서 최근 1형 당뇨를 앓는 학생들의 건강권과 교육권을 보장하기 위한 조례를 제정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인천시의회가 유경희(민·부평구2)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인천시교육청 당뇨병 학생 지원 조례안'을 지난 8일 본회의에서 원안 가결한 것이다. 인천시의회, 인천시, 인천시교육청이 1형 당뇨 자녀를 둔 학부모들과 머리를 맞대 이룬 결실이다.
이 조례에 따라 인천시교육청은 당뇨병 학생 지원계획 수립·시행, 의료비 지원, 시험·평가시 당뇨병 학생 전자기기 사용 허용, 보건·담임·체육·영양교사 직무교육과 학년별 초기 상담 등을 추진할 수 있다.
1형 당뇨는 혈당 수치에 맞춰 수시로 인슐린을 투여하며 관리해야 하는 자가면역질환이다. 하지만 부모 등 보호자가 등교한 아이 옆을 지키며 인슐린 주사를 놓아주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학교에서는 혹여 돌발 상황 등이나 책임져야 할 일이 생길 것을 우려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1형 당뇨를 앓는 학생들이 값비싼 연속혈당측정기와 인슐린자동주입기 등 기기에 의존하는 이유다. 그래서 해당 가정은 경제적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가 5분마다 수치를 인식하고 보호자에게도 정보를 전송하려면 학생은 스마트폰을 항상 몸 가까이 둬야 한다. 하지만 다른 학생들과의 형평성 문제로 수업이나 시험 중 휴대폰을 제출해야 하는 실정이다.
1형 당뇨는 끼니마다 영양소와 식재료 무게 등을 세밀히 계산한 식단으로 혈당 흐름을 잘 살펴야 한다. 저학년일수록 보호자의 손길이 많이 필요하다. 초등학생 자녀를 둔 보호자는 점심시간마다 학교로 가서 아이의 식단을 직접 챙길 수밖에 없다. 아이를 돌보기 위해 보호자가 직장을 그만두는 가정이 생기게 마련이다.
보호자들은 혹여 아이가 학교생활을 하다 마음의 상처를 받는 일이 생길까 봐 걱정한다. 간혹 1형 당뇨가 단 음식을 많이 먹거나 뚱뚱해서 생기는 병이라고 오해해 또래들로부터 놀림을 당하는 학생도 있다고 한다. 보호자는 억장이 무너질 수밖에 없다.
전국의 1형 당뇨 자녀를 둔 보호자들이 '인천시교육청 당뇨병 학생 지원 조례안'을 주목하고 있다. 이번 조례 제정 추진에 큰 힘을 보탠 한 보호자는 전국에서 같은 처지의 부모들이 격려와 축하 인사를 건네왔다고 전했다. 다른 시·도에서도 희소식이 이어지길 기대한다.
[사설] 인천시 당뇨병 학생 지원조례, 전국으로 확산돼야
입력 2023-09-12 19:34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09-13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