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개 이상의 직업을 가진 전국 지방공무원이 3천명을 넘겼으며 이 가운데 경기도 공무원이 가장 많은 겸직 허가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용판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은 '지방공무원 겸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 지방공무원 3천156명이 겸직 허가를 받았다. 공무원 업무와 별개로 또 다른 일을 하고 있는 것인데,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77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서울 365명, 경남 350명, 강원 284명 등 순이다.
도내 겸직 허가를 받은 공무원 577명은 경기도 소속 공무원은 52명이며 나머지 525명은 기초단체 소속 공무원이다.
겸직 허가를 받은 전국 지방공무원 중에는 공인중개사 사무소 대표와 개인사업장 대표 등을 병행해 1천만원 이상 고소득을 올리기도 했으며 유튜브·블로그 등 개인 채널을 운영하는 지방공무원도 200명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공무원법과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에 따라 공무원은 영리 업무가 금지돼 있으나, 담당 직무 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 한해 지방자치단체장의 장이나 지방의회의 의장 허가를 받으면 겸직을 할 수가 있다. 다만, 지자체가 지방공무원의 무분별한 겸직을 허용해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필 행정안전부 차원에서 지방공무원 겸직 허용 실태는 이뤄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 의원은 "무분별한 겸직 허가에 대해서는 지방인사제도를 총괄하는 행안부가 제재를 가할 필요가 있지만, 그동안 행안부 차원에서 지방공무원 겸직 허용 실태에 대해 관련 자료를 검토하거나 잘못을 지적한 적이 없었다"며 "지자체의 무분별한 겸직 허용 실태조사와 겸직 미신고자 등 규정 위반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용판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받은 '지방공무원 겸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전국 지방공무원 3천156명이 겸직 허가를 받았다. 공무원 업무와 별개로 또 다른 일을 하고 있는 것인데,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577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서울 365명, 경남 350명, 강원 284명 등 순이다.
도내 겸직 허가를 받은 공무원 577명은 경기도 소속 공무원은 52명이며 나머지 525명은 기초단체 소속 공무원이다.
겸직 허가를 받은 전국 지방공무원 중에는 공인중개사 사무소 대표와 개인사업장 대표 등을 병행해 1천만원 이상 고소득을 올리기도 했으며 유튜브·블로그 등 개인 채널을 운영하는 지방공무원도 200명 이상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방공무원법과 지방공무원 복무규정에 따라 공무원은 영리 업무가 금지돼 있으나, 담당 직무 수행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 한해 지방자치단체장의 장이나 지방의회의 의장 허가를 받으면 겸직을 할 수가 있다. 다만, 지자체가 지방공무원의 무분별한 겸직을 허용해주고 있는 것은 아닌지 살필 행정안전부 차원에서 지방공무원 겸직 허용 실태는 이뤄지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 의원은 "무분별한 겸직 허가에 대해서는 지방인사제도를 총괄하는 행안부가 제재를 가할 필요가 있지만, 그동안 행안부 차원에서 지방공무원 겸직 허용 실태에 대해 관련 자료를 검토하거나 잘못을 지적한 적이 없었다"며 "지자체의 무분별한 겸직 허용 실태조사와 겸직 미신고자 등 규정 위반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현정기자 god@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