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의료를 담당할 의사 인력이 심각하게 부족하다. 의료 붕괴를 걱정할 지경이다. 경기도 내 의과대학 입학 정원이 20년 가까이 동결된 탓이 크다.

의료계에 따르면 도내 의대(의학전문대학원 포함)는 아주대, 성균관대, 차의과학대 등 3곳으로 입학 정원이 2006년 이후 각 학교당 40명씩 총 120명에 묶인 채 요지부동이다. 전국 전체 의대 정원 3천58명(40개 대학)의 3.9%에 불과한 수준이다. 대한민국 총인구의 26%인 1천400만 경기도 인구를 감안하면, 지역 정착 가능성이 높은 지역 의대 정원으로는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2021년 기준 경기지역 인구 1만명당 의대 정원도 0.09명으로 전국 평균 0.59명의 15.3% 수준에 그친다. 서울 소재 병원을 보유한 성균관대 정원을 제외하면 0.06명으로 더 떨어져 '전국 최하위' 수준이다. 강원도만 해도 인구 152만명에 의대 정원이 267명이다. 인구 분포 대비 의대 정원의 불균형이 이 정도면 심각한 역차별이다. 지역 배출 의사 부족은 지역 내 의사 부족 현상과도 직결된다. 실제로 도내 인구 1천명당 의사 수(한의사, 치과의사 제외)는 1.6명으로 전국 평균 2.0명의 80% 수준이다. 지방의 의사 부족 현상이 심각한 현안으로 조명받는 동안 경기도 의료 현실은 무관심 속에서 곪아온 셈이다.

이런 현실을 방치하면 신도시 개발 등으로 인구가 증가하면서 의료 수요가 폭증하는 경기도는 의사가 부족해 대응할 수 없는 악순환에 빠질 것이 확실하다. 또한 고령화에 따른 중증·만성질환자 증가, 코로나19 같은 대규모 신종 감염질환의 위협 등 급변하는 의료환경에 대비한 의료인력 확충은 더욱 절실하다. 경기도내 의대 설립과 정원 확대 요구가 반복되는 배경이다.

문재인 정부의 의사 4천명 양성 방안은 보건의료 분야 노사정 합의를 넘지 못해 무산됐다. 하지만 올해초 보건복지부와 의사협회 등이 의료현안협의체를 꾸리면서 관련 논의가 재개됐고, 지난 8월 말에는 각계 전문가들이 참여한 사회적 기구가 구성되면서 논의가 본격화될 모양이다.

경기도와 지역 의료계가 이번 기회에 지역 의대 정원 확대를 관철하는데 힘을 모아야 한다. 의사 1명을 배출하려면 최소 11년이 걸린다. 본격적인 의사 수급 불균형이 예상되는 2030년에 대비하려면 지역 의대 정원 확대는 경기도 최대 현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