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구 일대의 구도심에 내수 물류 창고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인천연구원이 지난 18일 공개한 '인천 내항 일원 항만 기능 이전에 따른 배후 물류시설 실태 및 기능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2017~2021년 인천 중구에 건설된 대형 물류창고는 21개에 달한다. 항만 관련 물류시설이 집적된 원도심 지역의 대형 내수창고 급증은 여러가지 도시 기능상의 문제를 유발하기 때문이다.
최근에 중구 일대에 지어진 물류창고 연면적은 100만4천468㎡로 평균 연면적은 4만7천832㎡에 달하는 대형 창고이다. 2004년 이전에 지어진 창고는 연면적 5천㎡ 이하가 대부분이었다는 점과 2005~2016년에 지어진 창고들도 평균 1만㎡ 안팎인 것과 비교하면, 창고의 대형화가 빠르게 이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구 남항 일대에 지어진 대형 창고시설은 보세창고나 항만 수출입 화물을 처리하기 위한 항만 배후시설이 아니라 전자상거래회사의 생활물류물동량의 보관에서 배송까지 일괄 서비스하는 '풀필먼트' 물류센터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도심인 내항과 중구의 도시 기능 변화에 대비한 인천시의 전략은 경제자유구역 확대 지정을 통해 새로운 투자 유치와 성장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이 구상은 해양수산부가 소유하고 있는 인천 내항 일대 55만평을 인천시와 해양수산부가 공동으로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한 뒤, 역사와 문화가 어우러지는 해양 관광과 레저문화 및 쇼핑 산업 중심의 하버시티로 만들겠다는 '제물포 르네상스' 프로젝트이다. 대형물류 창고의 난립은 인천시가 구상하고 있는 해양관광·문화 레저 산업과 조화를 이루기 어렵다.
새로 들어선 창고는 대부분 연면적 4만㎡ 이상 대형 물류창고들이다. 소형창고가 운영되던 공간에 대형창고가 무분별하게 건립되면 여러 가지 도시 문제를 유발하게 마련이다. 당장 대형 화물차의 운행과 교통량 급증으로 소음과 교통 체증으로 인한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인근 구도심 지역의 주거 여건을 악화시켜 쇠퇴를 촉발할 우려도 예상된다. 도시 기능관리 측면에서 대형 내수창고가 들어서게 되면 정작 필수 항만 배후시설의 입지여건을 악화시킬 수도 있다. 이 같은 현상은 내항 기능 변화로 인한 부작용이다. 인천시는 물류시설 수요를 파악하고 전체적인 도시계획의 틀 안에서 물류창고 시설을 체계적으로 관리해나가야 할 것이다.
[사설] 인천 중구 일대 대형창고 난립 대책 세워야
입력 2023-10-19 19:43
수정 2024-02-06 13:57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10-20 15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