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사흘 앞둔 26일 윤석열 대통령이 시민 추모대회 불참 의사를 밝힌 가운데 박정희 전 대통령 추도식에는 중동 순방 직후 참석한 행보를 놓고 '선택적 소통'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대통령실은 "시민 추모대회가 정치 집회 성격이 짙다"고 불참 이유를 밝혔다.
윤 대통령은 오는 29일 서울시청 광장에서 열리는 이태원 참사 1주기 시민추모대회에 불참하기로 대통령실을 통해 전했다. 하지만 이날 박정희 전 대통령 서거 44주기 추도식에는 현직 대통령 최초로 참석하면서 야권의 반발을 샀다.
44주기, 현직 대통령 최초로 참석
집회 성격 '거절'… 野 "선택적 소통"
유가족협의회는 앞서 "'이태원 참사 진상규명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고 한마디 한 적 없지만, 민주주의 직접 선거로 국민이 선출한 대한민국 20대 윤석열 대통령을 시민추모대회에 초대한다"며 대통령실에 초청장을 전달한 바 있다.
불참 소식에도 유가족들과 야권은 윤 대통령의 전향적인 입장을 요구했다. 야권은 공동주최에서 빠지겠다며 입장을 재차 내고 대통령이 참석해 유가족과 희생자들을 위로해 달라고 당부했다.
민주당 임오경 원내대변인은 "주최냐 후원이냐가 하등 중요하지 않다. 더 많은 국민과 함께 추모하고 아픔을 기리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며 "이제 그 문제가 해결됐다. 정중하게 추모집회에 참석해 주시길 요청드린다"라고 했다.
한편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행정안전부 종합감사에서는 이상민 장관이 유가족을 직접 만나 사과해야 한다는 발언이 나왔다.
송재호 의원은 "대통령을 모시고 유족분을 찾아 사과할 용의가 있느냐"고 묻자 이 장관은 "그럴 의사가 당연히 있다"고 답했다. 또 "희생자들에게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큰 슬픔을 겪고 있는 유가족에게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