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31일 취임 후 처음으로 회동한다. 그간 윤 대통령과 이 대표는 기념식 등에서 인사를 나눈 것이 전부였던 만큼 이번 만남은 사실상 현 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공식적인 소통 자리가 된다. 이번 사전 환담은 5부 요인과 함께 만나는 자리로 공식 회담에는 해당되지 않지만, 대화의 물꼬를 텄다는 점에서 정치권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민주당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30일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가 내일(31일) (내년도 예산안) 시정 연설 전 모임에 참석하기로 결정했다"며 "여러 의견이 있었지만 이 대표의 결단으로 참석하기로 결론 났다"고 밝혔다.
민주당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30일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이 대표가 내일(31일) (내년도 예산안) 시정 연설 전 모임에 참석하기로 결정했다"며 "여러 의견이 있었지만 이 대표의 결단으로 참석하기로 결론 났다"고 밝혔다.
이재명, 시정연설 전 모임 참석
현 정부 이후 첫 공식적 소통
야당 시정연설 보이콧도 없을듯
국회 정부 예산안 시정연설 전 5부 요인 중 한 명인 김진표 국회의장과 윤석열 대통령의 차담회에 이 대표가 참석하는 방식으로 회담 자리가 성사된 것이다. 지난해 민주당은 검찰의 민주당 중앙당사 압수수색 등의 이유로 사전 차담회와 시정연설을 보이콧 하면서 양측의 만남이 불발됐다. 올해는 여야가 맺은 이른바 '신사협정'으로 야당의 시정연설 보이콧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민주당은 정부의 실정과 의혹, 예산안 삭감 등을 두고 벼르고 있어 윤 대통령의 국정기조 전환을 촉구하는 개별 의원이 본회의장이 아니라 로덴터홀에서 피켓 1인 시위를 하는 것까지는 막을 수는 없다고 보고 있다.
취임 후 줄곧 윤 대통령과의 일 대 일 영수회담을 요구하던 이 대표는 최근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와 3자 회담을 제안을 넓힌 바 있다.
한편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의 코로나19 지원금 환수 면제 결정 등의 지원 대책에 대해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오랜만에 보는 잘한 결정"이라며 "윤 대통령이 이번 시정연설에서는 국민의 고통에 제대로 응답하기 바란다. 국정기조를 전면 전환해 (대통령의) 생각이 바뀐 것 같다는 평가를 할 수 있길 바란다"고 일부 긍정 평가를 내기도 했다.
/오수진기자 nur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