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65세 이상 노인들이 받는 연금 수령액이 전국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인 60만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54만원 수준이다. 노후 대비에 취약한 인구가 많다는 의미로, 이들을 위한 막대한 사회적 비용은 결국 젊은이들이 짊어져야 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포괄적 연금통계 개발' 보고서를 보면 인천지역 65세 이상 노년층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2021년 기준 54만원이다. 연금을 받는 노인 인구의 비율을 의미하는 '연금 수급률'은 91.5%로 전국 평균(90.1%)을 상회하지만,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전국 평균인 60만원에 미치지 못했다.

포괄적 연금통계란 통계청이 국민연금, 기초연금, 직역연금(공무원·군인·사학연금 등), 주택연금 등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11개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한 자료다. 노인 세대의 연금 수급 여부와 규모, 청·장년 세대의 연금 가입 현황 등을 파악해 연금 개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한다. 통계청이 모든 연금의 데이터를 집계해 분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한다.

연금 수급 비율은 높은데 수령액이 낮은 이유는 기초연금에만 의존한 저소득 계층 노인이 많기 때문이다. 기초연금은 65세 이상 노인 가운데 소득 수준 하위 70% 이하에 해당하는 인구를 대상으로 지급한다. 보험료를 내야 받는 국민연금과 달리 기준만 맞으면 받을 수 있다. 65세 이상이 되면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함께 받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1988년부터 도입된 국민연금은 연금 가입 대상이 확대된 시기가 짧아 70대 이상인 노인들의 가입률이 낮다.

더 큰 문제는 인천의 18~59세 경제활동 인구의 연금 납입액도 전국에서 가장 적다는 것이다. 2021년 기준 인천 내 18~59세 인구의 월평균 연금 납입액은 29만4천원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30만원을 넘지 못했다. 인천의 산업 구조상 제조업과 건설업 등 소득에 따라 연금보험료가 낮게 책정되는 직종에 종사하는 인구가 많다 보니 납입액이 적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공무원이나 군인 등이 내는 직역연금 가입자가 적은 것도 납입액이 적은 이유 중 하나다.

인천의 경우 현재 65세 이상 노인층은 물론 앞으로 연금을 받아야 할 경제활동 인구 또한 노후 대비에 취약한 구조다. 국가 차원의 연금개혁과 별개로 인천시가 보완할 수 있는 정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