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 고산지구에 추진되는 물류센터를 두고 지역주민들이 수사 의뢰를 검토하고 있다. 고산동 물류센터는 의정부 복합문화융합단지와 함께 개발제한구역을 해제한 땅과 미군 공여지 일부에 추진하는 도시개발사업이다. 복합문화융합단지는 문화·관광·여가·주거 등의 기능을 담지만, 고산동 물류센터는 당초 스마트팜을 예정했다가 사업계획을 바꿔 물류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의정부시와 시행사는 의정부시의 미래먹거리 창출을 위해 필요한 의사결정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주민들의 생각은 다르다. 고산동 물류센터가 건축허가 직전까지 '깜깜이'로 진행되면서 각종 의혹이 나오고 있다. 우선 시는 결국 사업자의 뜻대로 스마트팜이 무산된 곳에 물류센터를 들이기로 하고 개발계획을 변경했는데 도시지원시설용지가 넓어지고 용적률이 상향됐다. 스마트팜이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위한 구실이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또 물류센터가 추진된 복합문화융합단지의 도시지원시설용지는 사업시행 고시부터 획지분할이 가능하도록 설정돼 두 곳으로 나뉘었다. 게다가 협약을 근거로 비교적 싼 가격에 용지를 공급받는 과정에서 석연치 않은 구석이 많아 물류센터 조성 계획이 시행사 측에 의해 내부 정보를 이용한 방식으로 암암리에 추진됐다는 의심을 사고 있다.

무엇보다 고산동 물류센터 등 일부 변경된 사업계획들이 복합문화융합단지 도시개발사업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하는지를 두고도 논란이다. 이 사업은 특이하게도 조성토지 대부분을 출자자를 비롯한 사업시행자가 직접 사용하는 것으로 처음부터 설정돼 시행사 이사회만 통과하면 특정 업체가 주주로 참여, 저렴하게 매입·개발할 수 있는 구조로 추진되고 있다. 주민들은 스마트팜이 물류센터가 되더니, 뽀로로테마파크가 데이터센터로 변경되면서 복합문화융합단지가 방향을 잃었다고 느낀다. 시의회 역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물류센터 조성 계획이 처음 시의회에 알려진 것은 2020년 10월이다. 처음엔 시의 계획 변경에 황당하다던 의원들이 '물류시설은 공항, 도로 같은 사회인프라 시설로 일자리 창출은 물론 시가 발전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는 논리에 밀려 각종 의혹을 방치했다.

고산동 물류센터 문제는 가장 중요한 '주민 의견'을 생략한 점이다. 깜깜이 행정의 대가로 시 행정은 불신을 샀다. 주민들의 수사 의뢰 추진이 정당하다면 서둘러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