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가 7일 정례회 본회의에서 '경기도의회 회의규칙 일부개정 규칙안'을 의결했다. 광역, 기초의회 통틀어 전례 없는 원포인트 회의규칙 개정이다.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위원회 개회 또는 의사진행을 거부·기피해 위원회 활동이 어려우면 타 교섭단체 소속 부위원장이 위원장 직무를 대행하는 내용이다. 도의회 국민의힘의 극심한 내분으로 도의회 의정이 마비될 지경에 이르자 상식과 관행을 강제하는 조례를 입법한 것이다.

경기도의회라는 프리즘만으로 본다면 국민의힘은 여당은커녕 정당도 아니다. 도의회 의장직을 민주당에 헌납하면서 내분이 터졌다. 여야 동수 의석에서 연장자 우선 규칙에 따라 국민의힘 몫이었던 의장직을 몇 명의 이탈표로 민주당에 넘겨줬다. 유권자와 당을 배신한 역대급 해당 행위를 당 대표 해임 사태로 난리가 난 중앙당이 방치했다.

국민의힘 도의원 다수가 곽미숙 전 대표의 선출 방식을 문제 삼아 낸 직무집행정치 가처분 신청을 법원이 인용해 새로 대표단을 꾸렸지만, 정상화는커녕 내분은 더욱 심각해졌다. 곽 전 대표는 이의 신청, 대법원 제기명령 신청, 본안 소송으로 현 대표단과 법정 투쟁 중이다. 이 과정에서 곽 대표 시절 수석대변인인 지미연 기획재정위원장은 현 대표단이 2명의 위원을 교체하자 지난 9월 임시회 때 위원회 운영을 거부했다. 보건복지위원으로 교체된 곽 대표측 국민의힘 의원들은 단체불참으로 위원회를 마비시켰다.

지 위원장은 행정사무감사가 예정된 정례회에서도 현 대표단이 교체한 2명의 기획재정위원을 행감에서 제외시켰다. 이 또한 최고 의회인 국회에서도 유례가 없는 위원장의 전횡이다. 전례가 없는 건 상임위원이 당연직 감사위원이라는 의정 상식과 관행 때문이다. 감정 때문에 상식과 이성을 잃은 것으로 보인다. 보다 못한 민주당이 회의 규칙까지 개정했다. 조롱에 가까운 조례다.

국민의힘이 인요한 위원장을 모셔다가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형 정책 이슈도 쏟아낸다. 총선에서 이기자고 하는 일일 테다. 그런데 경기도의회만 보면 국민의힘이 집권을 지속해야 할 이유와 명분을 찾기 힘들다. 자기 욕심과 감정을 공적 가치에 앞세우는 이런 사람들이 총선 현장에서 힘을 합해 중앙당에 헌신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중앙당이 아무리 혁신을 강조하고 이슈를 선점해도 당 하부 구조가 이 모양이라면 다수당이 된 들 국민에게 무슨 이익이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