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국영기업 오스테드가 인천 앞바다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내 최대 규모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정부가 승인했다. 오스테드는 세 번째 도전 끝에 최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발전사업 허가를 받았다. 어민 반발과 바다 환경 파괴 등 여러 논란이 아직 진행 중인 상황에서, 실질적인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수두룩하다.
지난 24일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열린 제291차 전기위원회에서 오스테드의 '인천해상풍력 1·2호 발전사업 전기사업 허가신청' 안건이 통과됐다. 오스테드는 인천 옹진군 덕적도 서쪽 50㎞, 35㎞ 해상 두 곳에 각각 800㎿씩, 총 1천600㎿ 규모의 풍력 발전단지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오스테드는 지난해 12월 전기위원회에 허가를 신청했지만 주민·어민 수용성 부족으로 보류됐고 올해 3월 열린 심의위원회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후 오스테드는 주민·어민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고 의견을 반영하는 등 수용성 확보에 주력했다고 한다. 최근에는 전체 발전사업구역에 포함돼 있는 '인천항로' 북쪽으로 풍력터빈을 설치하지 않기로 주민과 협의했다. 인천항로는 전쟁 등 유사시 서해5도 주민을 위해 사용되는 뱃길이다. 애초 오스테드는 이 항로를 발전구역 안에 포함시켜 서해 5도 주민들의 반발이 컸다. 사업구역은 축소됐지만 고성능 해상풍력터빈을 설치해 발전량을 최대한 끌어 올린다는 전략이다. 정부 승인 이후 환경영향평가 등 후속 절차를 밟아야 한다.
현재 오스테드를 포함한 국내외 발전사업자 여러 곳이 인천 앞바다에서 해상풍력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발전 업체가 인천 앞바다에 몰려드는 이유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과 가까워 송전선로 구축 비용 등 사업비가 다른 지역보다 적게 들기 때문이다. 인천 앞바다에서 생산된 전력은 대부분 서울에 공급된다.
이들 사업자가 신청한 풍력발전사업을 모두 허가해줄 경우 인천 앞바다 어업구역의 대규모 축소는 물론 항로 변경, 해양오염 등 각종 문제 발생이 불가피하다. 친환경 에너지 사업이란 명분으로 우후죽순 추진되고 있는 해상풍력발전 사업 때문에 인천 앞바다를 통째로 잃어버릴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온다. 친환경에 대한 맹목이 때론 환경을 망칠 수 있는 독이 될 수 있다. 정부가 인천 앞바다 해상풍력발전사업에 대해 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사설] 인천 앞바다 해상풍력발전 허가, 풀어야 할 숙제들
입력 2023-11-27 19:41
수정 2024-02-06 15:43
지면 아이콘
지면
ⓘ
2023-11-28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