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주민투표를 실시하고 21대 국회에서 특별법을 통과시켜 2026년 7월 '경기북부특별자치도'를 설치하겠다던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로드맵에 차질이 발생했다. 지방자치법상 경기북도 설치를 위해서는 주민투표 또는 지방의회 의견청취 둘 중 하나를 거친 뒤, 국회에 발의된 경기북도 설치 관련 특별법을 통과시켜야 한다. 경기도는 지난해 9월 행안부에 주민투표를 요청했는데 새해가 밝아도 답변은 감감무소식이다. 정부가 이에 대해 미온적 태도를 보인 데다, 집권여당이 당론으로 정한 서울메가시티라는 예상치 못한 복병을 만난 게 가장 큰 이유다.

지방의회 의견청취라는 차선책이 있지만, 김 지사는 '주민투표' 노선을 고수했다. 주민투표를 통해 도민 의견을 물어 추진 동력을 확보하겠다는 김 지사의 의지가 강조된 결정이지만, 경기북도 설치 로드맵 수정은 불가피해졌으며 출범 시기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진 게 사실이다. 문제는 정공법으로 택한 22대 국회 처리 부분도 여전히 미지수라는 점이다. 4월 열리는 총선에서 주요 정당이 경기북도 설치를 총선 공약으로 택해줄지도 불확실 한데다, 서울메가시티라는 거대 공약과 충돌하는 부분도 있어 22대 국회 구성에 운명이 달린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21대 국회에서 경기북도를 법안으로 추진해 온 여당 의원들은 현재 김 지사와 입장차가 크다. 국민의힘 김성원(동두천·연천) 의원은 김 지사가 김포 서울편입을 강하게 비판해 온 데에 패착이 있다고 지적한다. 경기북도와 서울메가시티를 별개로 보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서울 확장론만 여당이 당론으로 정한 상황에서 '김동연 책임론'만 제기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합리적 대화가 필요한데 정쟁만 남은 분위기다.

21대 국회에서 무산된 경기북도 설치는 시기적으로는 늦춰졌지만, 22대 총선을 통해 그 필요성을 민심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문제는 경기북도 설치가 총선 공약으로 올라 경기도민들의 판단을 구할 수 있느냐 여부이다. 김 지사는 지금이라도 여·야가 경기북도 설치를 총선 당론으로 정하도록 적극적인 공약 세일즈를 할 필요가 있다. 최소한 자신이 속한 더불어민주당이라도 먼저 경기북도 설치를 경기도 총선 공약으로 채택해야, 김 지사의 남북분리 명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번 총선은 김 지사에게 경기북도의 미래를 위한 분도의 진정성을 보여줄 정치적 공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