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지역의 저축은행 부실채권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 금융권의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수도권 지역 저축은행들이 언제 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으로 우리 경제의 리스크가 되고 있다.
자산규모 1조원 이하인 경기·인천지역 13개 저축은행을 포함한 전국 47개 저축은행의 부실 채권 비율이 지난 2021년 3.4%에서 지난해 6월말 기준 6.8%로 급등했다. 고정·회수의문·추정손실에 해당하는 대출채권이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데 경인 지역의 중소저축은행 부실채권 비율이 2년 사이 급등한 것이다.
지역 저축은행들의 부실채권 비율이 커진 것은 이들 은행의 대출 중 절반 이상이 부동산·건설업을 대상으로 진행됐기 때문이다. 경제 상황에 따라 부침이 심한 업종에 대출을 많이 해주다 보니 부동산·건설업계가 흔들리면 지역 저축은행까지 타격을 입는 도미노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 6월 말 기준 경기·인천지역 13개 저축은행의 기업 대출액 가운데 부동산업과 건설업 대출 비율은 46.4%를 차지했다. 기준금리 인상 이후 시중은행이 부동산 관련 대출을 줄이자 건설사 등이 지역 저축은행으로 눈을 돌리면서 대출 규모가 증가한 것이다.
부동산 PF대출과 건설업 관련 대출액을 합산한 금액이 자기자본보다 많은 경기·인천지역 은행이 7곳에 달할 정도다. 당장의 경영 이익을 위해 부동산 대출에 매달린 이들 저축은행의 도산이 시간문제라는 얘기도 나온다.
지역 저축은행 부실 가능성을 키운 또 다른 요인으로 '브릿지론'을 꼽는 전문가들도 있다. 통상 PF대출은 브릿지론과 본PF로 나뉘는데 브릿지론의 경우 저축은행 공시자료 PF 대출 항목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한다. 부동산 관련 대출에 브릿지론까지 포함하면 지역 저축은행의 PF 리스크는 예상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러한 리스크에 대비해 지역 저축은행들은 2022년부터 현금성 자산을 확보하는 등 관리에 나섰지만 최근 태영건설발 PF 위기가 확산하면서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국내 저축은행들은 2000년대 초반부터 설립 목적인 서민금융보다 부동산사업 대출에 집중하면서 큰 수익을 남기기 시작했다. 저축은행들의 부실로 피해를 입는 것은 부동산 투자와는 무관한 서민들이다. 지역 저축은행들의 강도 높은 경영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사설] 경인 지역 저축은행 부실 방치하면 안된다
입력 2024-01-09 20:16
수정 2024-01-10 08:42
지면 아이콘
지면
ⓘ
2024-01-10 19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