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제1차 빅데이터위원회’ 개최해 사업 방향 논의

경기도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고독사 예방 및 발달장애인 돌봄 정책 등을 마련한다.
인공지능이 전화를 걸어 안부를 묻거나, 가스·전기요금 등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고독사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방식이다.
경기도는 지난 23일 오후 경기도청에서 2024년 제1차 빅데이터위원회를 개최해 이런 내용을 담은 ‘AI와 빅데이터 기반 도정혁신과 산업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위원회에서 새로 위촉한 신규 위원 10명을 포함한 12명의 위원이 지난해 사업 성과를 평가하고 올해 사업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논의된 사업은 ▲AI 마이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 ▲인공지능 인재 양성 ▲발달장애인 AI 돌봄 서비스 지원 ▲경기 생성형 AI 데이터플랫폼 사전 컨설팅 ▲마이데이터 통합 플랫폼(경기똑D) 운영 ▲데이터 기반 도정 현안 분석 ▲데이터 공동활용을 위한 민간데이터 구매 등이다.
또한, 도는 산·학·연·관 협력 전문인력 양성 교육을 위해 판교에 교육센터를 구축할 방침이다.
아울러, 도내 인공지능 기업 수요에 맞는 인공지능 기술·서비스 실증 지원과 도민AI 평가단 운영을 통해 기업의 기술력 강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공공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행정서비스 앱 ‘경기똑D’에는 도민 카드 활용처가 확대될 예정이다.
한편, 경기도는 지난해 AI․마이데이터 기반 고독사 예방 및 대응 서비스를 개발하고 아마존웹서비스(AWS)와 구글플랫폼을 활용한 전문인력 40명, 인공지능 대학원 석박사 지원 등 239명을 교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