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와 서울시의 교통정책 공방이 주목된다. 포문은 오세훈 서울시장이 먼저 열었다. 지난 21일 오 시장이 "경기도 지자체들이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면 재원을 서울시가 60%, 시·군이 40%를 부담한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경기도민 100만여명에게 혜택을 제공하겠다는데 경기도가 도와주지 않아 재정이 열악한 도내 기초자치단체들이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지 못한다"고 밝힌 것이다. 다음 날인 22일 김상수 경기도 교통국장이 "도는 작년 말에 시·군이 자율적으로 기후동행카드에 참여하도록 했지만 실효적 혜택이 없다고 판단해 안 하는 기초자치단체들이 많다. 상호 건강한 정책경쟁이 불필요한 정치 쟁점화로 변질해 수도권 시민에게 혼란을 가중 않길 바란다"고 유감을 표명했다. 그럼에도 오 시장이 지난 27일 모 방송에서 또다시 지원 미흡을 거론하자 경기도는 오는 5월 시행예정인 국토교통부의 'K-패스'보다 도민들에게 혜택이 더 많은 'The 경기패스' 준비에 올인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달 27일부터 전국 최초의 무제한 대중교통 통합할인권인 기후동행카드를 시범운영 중이다. 월 6만2천원 혹은 6만5천원으로 서울 시내 지하철과 서울면허 마을·시내버스 및 따릉이 등의 무제한 이용 가능한 정액권인데 한 달 만에 판매량이 46만장을 돌파했다. 수도권으로의 외연 확장 중이나 국민의힘 소속 단체장이 있는 인천시와 경기도 김포, 군포, 과천시만 기후동행카드 사용 업무협약을 맺었을 뿐 더불어민주당 소속 기초단체장들은 소극적이거나 검토조차 않고 있다.
수도권 주민들은 K패스(국토교통부), 기후동행카드(서울시), 더 경기패스(경기도) 선택을 놓고 어느 것이 자신에게 더 유리할지 헷갈린다. 기후동행카드를 사용 중인 도민들의 혼란은 점입가경이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 서울에서 지하철에 승차했더라도 경기도 지하철역에서 내리면 서울 외 구간 이용료를 따로 납부해야 하고, 광역버스와 신분당선, 서울시 면허가 아닌 서울 외 시내버스는 갈아탈 수 없다. 무제한 승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구간인지 따로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에 더해 추가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는 것이다.
기관장의 욕심과 '기싸움'이 초래한 중복된 정책은 국민만 고단하게 한다. 2천600만 수도권 주민들은 기후위기 대응, 교통복지 실현, 이동권 향상이 담보된 수도권 통합교통할인카드 탄생을 고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