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일 한국소비자원은 작년 7월부터 9월까지 열린 전국 지역축제장 10곳에서 조리, 판매한 식품 30개의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 중 2개 제품에서 식중독균인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됐다. 조리·판매 종사자가 위생모나 위생장갑,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고 식품을 취급하거나 조리도구와 식기, 식재료 폐기물 관리 등이 비위생적인 사례도 확인되었다. 일부 축제장에서는 LPG 충전용기나 가스·전기시설 안전관리도 미흡했다. 행정안전부의 '지역축제장 안전관리 매뉴얼'에 따르면 LPG 충전용기는 직사광선이나 눈, 비 등에 노출을 막기 위해 차양을 설치해야 하지만 대상 축제장 내 68개 업소 중 35개소가 차양을 설치하지 않았다. 축제장 내 설치된 배·분전반 43기 중 2기는 문이 개방된 채로 방치돼 있었고 1기는 어린이들의 이동이 잦은 수영장 입구에 설치돼 감전 위험이 있었다.
축제의 계절이 돌아왔다. 경기도의 경우 이달 말 안양시에서 개최되는 벚꽃축제를 시작으로 진달래축제(부천), 자전거축제(안산), 연극축제(수원) 등 올 한 해 동안에 도내 곳곳에서 총 273개의 축제행사가 예정되어 있다. 코로나19 엔데믹 2년 차를 맞아 국민들의 봄의 향연에 대한 기대도 크다. 코로나19가 안정세로 접어든 2022년 기준 전국 지역축제 방문객수는 팬데믹 직전인 2019년보다 19.7% 증가했다. 국민들이 다시 지역축제장으로 몰려드는 것이다. 고금리, 고물가, 고환율 여파에 시달리는 지역 소상공인들의 기대는 더 크다.
지자체마다 성공을 다짐하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시군과 경찰·소방 등 지역 유관기관에서 만드는 안전관리계획이 제대로 이뤄지는지 열리는 축제마다 사전점검하겠다"고 밝혔으나 성과는 의문이다. 고질인 '지역축제=바가지요금' 이미지 타개가 난제(難題)인 것이다. 자릿세의 전매 근절이 요구된다. 그동안 먹거리장터의 입주권은 공공연히 전매되었는데 입주 허가를 얻은 상인들이 입주권을 다른 업체에 적게는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에 매각한 것이다. 웃돈만큼 이익을 내야 하는 악순환이 바가지요금과 안전불감증의 근본 원인이 될 수밖에 없다.
진입장벽도 낮추어야 한다. 유명세를 탄 축제일수록 부스 참여비가 천정부지이다. 잔치의 진정한 목적은 손님들의 만족도 극대화여서 기본에 충실한 축제준비가 관건이다. 경기도가 전국 지역축제의 모범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