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 김준혁(수원정) 의원이 10일 주한일본대사관 앞에서 ‘사도광산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철회’를 일본 정부에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일본 정부의 시도는 역사적 진실을 왜곡하고, 태평양 침략전쟁을 정당화하는 행위”라며 한 문화재를 두고 사도광산의 인권유린 현장의 시기는 제외하고 그보다 앞선 시점만 한정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것은 “꼼수”라고 강력하게 규탄했다.
사도광산은 일본 정부가 1930년대 태평양 전쟁을 본격화 한 후 조선인 강제노역으로 구리 철 아연 등 전쟁 물자를 확보했던 장소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16~19세기 중반만 한정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면서 반인권적인 문제를 의도적으로 가렸다.
일본 정부는 지난 2022년 2월부터 ‘사도섬 금산’(이하 사도광산) 세계유산 등재 시도를 이어왔다. 같은 해 7월 유산 관련 설명 불충분으로 심사는 진행되지 않았지만, 일본은 2023년 1월 다시 신청서를 제출했다. 해당 신청에 관한 결과로, 지난 6일 유네스코 자문기구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이코모스)는 일본 측에 등재 ‘보류’(refer)를 통보하고 추가 자료 제출을 요구했다. 일본 정부는 오는 7월 인도 뉴델리에서 열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 때까지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김준혁 의원은 일본 정부의 등재 시도와 관련해 “일본이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에 등재하려는 것은 태평양 전쟁을 미화하려는 계산”이라며, “인권유린 현장을 아무 사과 없이 ‘문화유산’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는 행위는 절대 용서할 수 없다”고 비판했다.
특히 김 의원은 일본 정부가 이미 군함도 세계유산 등재 때 검은 역사도 드러내겠다던 약속을 지키지 않았던 전례를 강조하며, 이런 상황에서 사도광산 등재를 받아들여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역사학자 출신인 김준혁 의원은 사도광산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적극적으로 반대 목소리를 내왔다. 지난 2023년 8월 광복절 기념으로 사도광산에 직접 방문해, 조선인 강제징용 희생자 1천519명을 추모했다.
김 의원은 일본의 ‘사도광산’ 등재 시도 철회를 촉구하는 한편, 오는 7월 유네스코 회의를 앞두고 정부에 적극적인 대응을 요구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