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인선서를 거부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오른쪽 부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21일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서 자리에 앉아 있는 동안 박성재 법무부 장관(왼쪽부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근 전 국방부 법무비서관 등이 일어서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2024.6.21 /연합뉴스
증인선서를 거부한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오른쪽 부터),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21일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서 자리에 앉아 있는 동안 박성재 법무부 장관(왼쪽부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근 전 국방부 법무비서관 등이 일어서서 증인선서를 하고 있다. 2024.6.21 /연합뉴스

핵심 증인인 이종섭 전 국방부장관과 신범철 전 국방부차관,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21일 국회 입법청문회에서 증인선서를 거부했다.

수사를 받고 있다는 이유다. 위원들은 ‘거짓말을 하겠다는 것 아니냐’고 고성을 질렀다.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사전에 저희가 증인선서 서명을 다 받았는데 3분이 증인선서를 거부했다”면서 이종섭 전 장관, 신범철 전 차관, 임성근 전 1사단장에게 따로 증인선서 거부 의지를 확인했다.

이종섭 전 장관은 사유를 밝히는 자리에서 “공수처 고발 돼 피고발인 신분이다. 국회증언및감정법과 형사소송법에 근거해 증인선서를 거부한다. 현재 수사중인 고발사건과 관련해 특검을 포함한 수사기관의 그릇된 사실관계 및 법리 판단으로 공소제기 당할 위험성이 남아 있다”고 말했다.

박성재 법무부 장관(앞줄 왼쪽부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근 전 국방부 법무비서관 등이 21일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증인선서를 하는 동안 선서를 거부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자리에 앉아 있다. 2024.6.21 /연합뉴스
박성재 법무부 장관(앞줄 왼쪽부터),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 유재근 전 국방부 법무비서관 등이 21일 오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순직 해병 진상규명 방해 및 사건은폐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검사 임명법’(채상병특검법)에 대한 입법청문회에 증인으로 출석해 증인선서를 하는 동안 선서를 거부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자리에 앉아 있다. 2024.6.21 /연합뉴스

신범철·임성근 증인 역시 같은 이유를 대며 증인 선서를 거부했다.

다만 이들은 “성실히 증언하겠다”고 했다.

김승원 간사는 “공직에 있던 분들 아니냐. 선서는 안하고 증언하겠다? 처벌 안받으니 거짓말 마음대로 할 수 있으니 그렇게 하겠다? 그게 지금 공직자로서 국민 앞에 할 말인가. 국가의 녹봉을 받는 공직자가 지금 뭐하는 것인가”라고 호통쳤다.

정청래 법사위원장은 “이종섭 임성근 신범철 증인은 증인선서 거부에 대한 죄를 따로 묻겠다”고 엄포를 놓았다.

전 국민권익위원장인 전현희 의원은 “세분 선서를 거부한 분들은 이 사건의 유력한 책임자로 현재 국민들이 지목하는 분들이다. 그런분들이 스스로 선서를 안 하는 것은, ‘내가 바로 가장 큰 잘못이 있다, 범인이다’라고 자백하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