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왼쪽)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전 국민 25만원 지원법 등을 논의하는 여야 대표 회담에 앞서 발언을 준비하고 있다. 2024.9.1 /연합뉴스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왼쪽)가 1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채상병 특검법,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전 국민 25만원 지원법 등을 논의하는 여야 대표 회담에 앞서 발언을 준비하고 있다. 2024.9.1 /연합뉴스

1일 여야 대표 회담에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양측은 비교적 허심탄회한 얘기를 나눴다고 자평하고 있다. 국회 본청 회담장의 분위기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렇다고 두 대표가 편안한 얘기만 주고 나눈 것은 아니다. 특히 모두발언에서 양측은 서로의 뇌관을 건드리며 양측 지지층을 만족시키는 발언을 남기기도 했다.

‘집권여당’ 배려로 먼저 발언한 한동훈 대표는 정치개혁의 과제로 ‘불체포특권’을 언급했다.

그는 “이 대표는 과거 국회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대선공약을 내 놓을 정도로 특권내려놓기에 과감했다”면서 “불체포특권(포기), 재판기간 중 세비반납을 실천하자”고 직격했다.

21대 국회에서 이 대표는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불체포특권을 내려놓겠다고 했으나 단식 이후 페이스북을 통해 자당 의원들에게 체포동의안 부결을 요구한 바 있다. 한 대표의 발언은 일종의 상대 뇌관을건드린 셈이다.

이날 모두발언문 대신 키워드 노트로 현장 발언을 했던 이 대표는 한 대표 발언에 “저는 국회의원 특권 얘기도 중요하지만 상응하는 대통령의 소추권에 대해서도 같은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맞받았다.

대통령은 헌법에서 내란 등의 사안이 아닌 이상 형사상 소추되지 않는다는 ‘불소추특권’이 있는데 국회의원의 불체포특권을 재검토한다면, 대통령의 불소추특권도 함께 살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현직 대통령이 채상병특검, 김건희여사특검 등으로 범죄의혹이 불거지는 것을 염두에 두고 직격한 셈이다.

하지만 이같은 ‘정쟁적’ 요소는 비공개회담에서 논의되지 않았다.

조 대변인은 이와 관련한 추가 논의가 비공개회담에서 있었느냐는 질문에 “모두발언을 끝으로 언급되지 않았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