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 대상 1천957건 중 부적합 3건

유해물질 통계 연보 제작·배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2년간 수산물 검사 결과 “99.9% 적합. /경기도 제공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2년간 수산물 검사 결과 “99.9% 적합. /경기도 제공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이 최근 2년 동안 도내 유통 수산물 유해물질을 검사한 결과, 99.9% 가량의 수산물이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도내 도매시장·대형마트 등에서 유통되는 수산물을 대상으로 1천957건의 유해물질 안전성 검사를 실시했다고 27일 밝혔다.

각각 중금속(납·카드뮴·수은) 1천735건, 잔류동물용의약품 183건, 패독소 39건 등이 포함된다.

이 중 3건(0.15%)을 제외한 대부분의 수산물이 안심하고 섭취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3건은 모두 양식활어 넙치에서 동물용의약품 성분인 아목시실린(기준 0.05mg/kg 이하)과 엔로플록사신(기준 0.1mg/kg 이하)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

연도별로는 2022년 992건 중 2건(0.2%), 2023년 965건 가운데 1건(0.1%)이 부적합한 것으로 확인됐다.

적발된 수산물은 즉시 유통 차단됐다. 도는 관계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 및 유통 점검 과정을 강화하고 재발을 방지할 계획이다.

아울러 연구원은 2년간의 안전성 검사 결과를 정리한 ‘2022-2023 경기도 유통 수산물 유해물질 통계연보’를 발간하고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누리집(gg.go.kr/gg_health)에 게시했다.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수산물 안전성 검사 방법과 항목 등 일반인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한 설명을 포함해 통계 자료집을 제작했다”며 “앞으로도 도민이 안심하고 수산물을 소비할 수 있도록 검사를 지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등 안전한 수산물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