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중구 영종도 하늘도시에 설치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크린넷’ /경인일보DB
인천시 중구 영종도 하늘도시에 설치된 생활폐기물 자동집하시설 ‘크린넷’ /경인일보DB

10년 넘게 방치된 인천 영종도 쓰레기자동집하시설(3월 25일자 6면 보도)을 재가동하기 전에 장기적인 운영 재원 확보 방안과 실질적인 편익을 미리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인천 중구의회에서 나왔다.

쓰레기자동집하시설 ‘크린넷’ 올해 가동 불투명… 음식 투입구는 RFID로 대체

쓰레기자동집하시설 ‘크린넷’ 올해 가동 불투명… 음식 투입구는 RFID로 대체

보고회’를 열고 시설 가동을 위한 향후 계획을 논의했다. 연구용역은 크린넷의 노후도 진단과 앞으로의 보수계획을 수립하는 내용이다. 크린넷은 2014년 12월 경제자유구역인 영종하늘도시에 준공된 일반·음식물 쓰레기 이송 시스템이다. 주거지 인근 투입구에
https://www.kyeongin.com/article/1733607

김광호(민, 영종·영종1·운서·용유동) 중구의원은 2일 제325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수백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크린넷 운영을 재개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인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크린넷 재가동에 따른 하자 보수 책임 문제와 크린넷의 잦은 고장을 고려한 쓰레기 수거 방안을 미리 생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크린넷 추정 보수비용만 당초 설치비의 10%가 넘는다”며 “크린넷 중앙 지하 관로의 시공 책임은 LH에 있지만, 아파트 단지로 연결된 관로는 각 아파트 단지가 시공을 담당해 하자 보수 책임도 분산돼 있다”고 했다. 특히 10년 넘게 이어진 크린넷 방치 기간으로 재가동 이후 내구연한(30년)이 절반 가량 밖에 남지 않았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김 의원은 “주민 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크린넷 지속 가능 운영을 위한 재원 마련 방안을 생각해야 한다”며 “크린넷 가동이 중단될 경우 생활쓰레기를 안정적으로 수거할 대체 방안도 고민해야 한다”고 했다.

크린넷은 2014년 12월 영종하늘도시에 생긴 일반·음식물 쓰레기 지하 이송 시스템으로, 당시 사업비 1천530억원이 투입됐다. 하지만 잦은 고장과 막대한 운영·수선 비용 등을 이유로 중구,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시설 인수를 미루며 현재까지 시설이 방치되고 있다. 중구와 인천경제청이 운영비와 유지비를 일정 비율로 분담하고 LH가 시설 보수를 맡기로 했지만, 최근 용역에서 보수 비용만 150억원 이상이 나올 것으로 추산되면서 재가동이 늦어지고 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