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인천의 한 대로변에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의 현수막이 설치되어 있다. 2025.5.13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13일 오후 인천의 한 대로변에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의 현수막이 설치되어 있다. 2025.5.13 /조재현기자 jhc@kyeongin.com

비상계엄사태로 촉발된 6·3 조기 대선이 19일 앞으로 다가왔다. 위기의 대한민국을 회복시킬 비전과 정책이 정치 양극화에 묻히지 않을까 우려된다. 경기·인천지역은 최대 표밭이자 승패의 결정지다. 대선공약은 지역 경제와 산업은 물론 도시공간의 구조 변화와 주민들의 삶의 질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대선공약은 지역정책 방향과 직결되는 만큼 유권자들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전직 경기도지사 더비’가 주도하는 이번 대선으로 경기지역의 난제가 해소될지 주목된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는 경기도를 세계 반도체 산업 중심지로 키우겠다고 약속했다. 투자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전력, 용수 공급 등 지원을 강화해 완결형 생태계를 조속히 완성하겠다고 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10대 공약에 녹여냈다. 김 후보 역시 반도체를 강조했다. 지사 시절 국내 투자를 망설이는 삼성전자를 설득해 ‘397만㎡의 세계 최대 규모 평택 반도체 공장’을 유치한 경험을 내세웠다. 반도체 산업을 포함해 ‘기업할 자유가 넘치는 나라’를 1호 공약으로 꼽았다.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확대는 공통 공약이다. 두 후보 모두 GTX-A·B·C와 연장노선의 차질 없는 추진을 말했다. 수도권과 지역을 잇는 광역급행철도 건설 계획도 부연했다. 김동연 도지사가 주도해온 경기분도론은 후보들의 입장 차이가 크다. 두 후보의 정책으로 경기도 산업, 경제, 행정이 요동칠 수 있다.

이 후보는 인천을 공항과 항만, 배후도시를 연계한 ‘글로벌 물류 허브’로 목표를 제시했다. 송도, 영종도, 시흥 일대를 첨단 연구개발과 생산을 아우르는 세계적인 바이오 메가 클러스터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해사법원은 인천과 부산 두 곳에 본원을 설치하고, 인천을 국제 해사사건 전문법원으로 특화시키겠다고 했다. 김 후보는 유정복 시장의 ‘인천형 저출산대책’을 공약에 담았다. 신혼부부 주거지원 확대와 출산 지원 확대 등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나라’를 다짐했다. 0~17세 우리아이 첫걸음 계좌와 요양병원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도 덧붙였다.

대선의 선거운동은 비상계엄과 탄핵정국을 거치며 심화된 양극화 민심을 추종하고 있다. 후보들의 캠페인은 연일 상대를 저격한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정책보다 구도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실천 방안 없는 공약과 정책은 부실하다. 정치적으로 분할된 영·호남과 달리 경기·인천 유권자만이라도 공약과 정책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