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 김재연, 민주 맞손 ‘갈등 점화’
관세 문제 등 영향 지지후보 엇갈려
이번 6·3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인천지역 노동계 표심이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다. 선거철이면 진보정당을 공식적으로 지지했던 노동조합들이 이번 대선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와 민주노동당·노동당·녹색당 등이 연대한 ‘사회대전환’ 권영국 후보 중 어느 쪽에 힘을 실어줄지 결정을 내리지 못한 상황이다.
18일 경인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노총 인천지역본부와 민주노총 산하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 소속인 인천의 주요 사업장 노조들은 이번 대선 방침을 정하지 못했다. 애초 민주노총이 이재명 후보와 정책협약을 추진하고 나섰다가 무산됐기 때문이다.
민주노총은 지난 15일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민주당과의 정책협약 여부를 논의했는데, 진보정당을 지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다수 나오면서 지도부가 협약 추진을 철회했다. 정책협약 내용에 노동기본권이나 차별금지법 제정 등이 빠져 민주당의 입맛에 맞게 협약을 추진한다는 비판도 거셌던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노총은 역대 선거마다 진보정당을 지지해왔다. 민주당을 지지한 전례가 없었던 민주노총의 전통을 깬다며 반발이 일었고 사무총장이 사임하는 등 갈등이 커졌다.
민주노총 중앙의 갈등이 커지면서 인천지역본부도 상황을 지켜볼 뿐 결정을 할 수 없는 처지다. 민주노총 인천본부 관계자는 “진보당이 김재연 후보를 선출한 뒤 대통령 후보로 등록하지 않고 바로 민주당과 손을 잡으면서 내부에서 찬반양론이 나뉘는 상황”이라며 “중앙에서 결정하면 지역이 따르는 ‘단일대오’를 유지해온 만큼 인천본부가 개별적으로 결론을 내릴 수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금속노조 인천지부 산하 개별 노조들도 ‘단일대오’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 권 후보를 공식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힌 노조는 HD현대인프라코어지회와 한국지엠 하청업체인 Km&i지회 등이다. 이들 지회는 권 후보 선거 캠프인 ‘사회대전환 인천 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에 합류했다.
반면 한국지엠과 현대제철 등 인천지역 주요 사업장 노조들도 지지 후보를 정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정부가 자국 수입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을 펼치면서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사업장이다. 이들 노조 입장에서는 유력 주자인 이 후보를 지지하고 관세 문제 해결을 요청할 수 있지만, 진보정당 연대 후보인 권 후보를 지지해야 한다는 여론도 적지 않아 의견을 모으기 어려운 분위기다.
익명을 요청한 한 노조 관계자는 “민주당이 중도 보수 확장 전략을 내세우고 있어 지지할 수 없다는 의견이 노조마다 적지 않은 게 사실”이라며 “단독 후보를 낸 원내 진보정당이 부재한 것도 노동계의 혼란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