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출범, 정수 11명 유지 제언

구도심 발전에 충분한 인력 필요

“기초의원 감소는 주민 불이익”

내년에 출범하는 인천 새 자치구인 ‘제물포구’에서 주민 목소리를 충분히 대변할 수 있도록 기초의원 정수를 11명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물포구는 중구에서 영종도를 뺀 내륙과 동구를 합쳐 내년 7월 1일 출범하는 자치구다. 두 개의 기초자치단체가 통합해 기존보다 인구와 행정 규모가 확대되는 반면, 기초의회 의원인 구의원 숫자는 줄어들 위기에 처했다.

현재 중구 내륙에 지역구를 둔 구의원은 3명, 동구는 8명이다. 제물포구 출범 시 구의원은 법에서 정한 최소 인원인 7명(지역구 6명, 비례 1명)으로 줄어든다.

인천은 전국 7개 특별·광역시 중 기초의원 1명당 담당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인구가 계속 늘고 있어 현재 구의원 숫자로는 신속한 민원 처리와 지속적인 정책 발굴 등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제물포구가 될 중구 내륙과 동구는 인천의 대표 구도심이다. 제물포구가 다른 자치구에 뒤처지지 않고 균형 있게 발전하기 위해 충분한 구의원 정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동구의회가 최근 진행한 ‘제물포구 출범준비정책연구용역’에서는 제물포구 기초의원 숫자를 현재와 같은 11명(동구 8명, 중구 3명)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 연구 용역에선 교통 환경이 열악한 제물포구의 대중교통 노선 재정비 방안도 제시됐다. 동구와 중구 내륙을 연결할 직통 버스 노선과 함께 구도심과 신도시를 잇는 노선 신설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 버스 배차시간 축소와 수요응답형버스(DRT) 도입 검토, 향후 인천3호선과 연계한 버스 환승 개편 등이 과제로 나왔다.

연구를 진행한 김성일 국제개발협력실행연구원 위원은 19일 “제물포구 기초의원이 중구 내륙과 동구가 따로 있을 때보다 줄어들면 결국 주민 불이익이 커지는 것”이라며 “행정 서비스 관점에서 주민의 대변인 역할을 하는 기초의회 역할을 축소해서는 안 된다. 출범 초기라도 의원 정수를 현재와 같은 11명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조경욱기자 imj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