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CJ 등 대형사 배송경쟁 과열

아파트 경비원 등 사각 직종 여전

모든 국민의 투표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임시공휴일로 지정된 6·3 대통령선거일에 택배노동자를 비롯한 많은 수의 특수·간접 고용노동자들은 쉬지 못할 것으로 보여 이들의 온전한 참정권 보장을 위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고양시에서 한진택배 배송기사로 일하는 김모(49)씨는 지난 대선과 달리 2주 앞으로 다가온 이번 대선에 소중한 한 표를 행사하지 못할 것을 걱정하고 있다. 5년여 전 택배 현장에서 과로사가 사회적 이슈로 부상하자 택배노동자의 쉴 권리를 보장하자는 취지에서 2020년 총선, 2022년 대선일이 휴무로 지정됐으나, 이번 대선을 앞두고는 한진과 대리점 측으로부터 어떤 공지도 전해듣지 못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별다른 일정 없이 투표할 계획만 있었는데 회사에서는 ‘결정된 게 없다’고만 해 쉬지 못할 거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한진이 주7일 배송시스템을 최근 도입하는 등 업무가 빡빡해져 사전투표 때는 더 엄두조차 못 내고 있는데, 아마 이번 선거는 그냥 넘겨야 하지 않나 싶다”고 말했다.

한진택배 노동자뿐 아니라 CJ대한통운 등 다른 대형 택배업체 기사들도 6·3대선일에 쉬지 못할 공산이 크다. 현장에서는 쿠팡의 로켓·새벽 배송으로 촉발된 과당경쟁 탓에 헌법상 권리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퇴행적 상황에 이르렀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을 촉구한다. 6·3대선 배송 운영과 관련 한진택배와 CJ대한통운 측은 모두 협의 중인 사안이므로 아직 휴무가 결정된 게 없다고 밝혔다.

간접고용 형태로 일하는 아파트 경비원들도 참정권 사각지대에 놓인 대표적 직종이다. 수원 영통구 한 아파트 경비원 최모(74)씨는 “격일제 근무로 하필 이번 대선 때는 근무일이어서 투표를 할 수 없게 됐다”며 “사전투표라도 할 수 있게 최대한 시간을 내보려 한다”고 말했다.

시민사회단체인 한국진보연대의 박석운 상임공동대표는 “택배노동자들 여건은 경쟁으로 오히려 악화하는 등 쉬어야 하는 날 쉬지 못하는 이들이 많다”며 “권리 보장을 위해 사전투표날에라도 쉴 수 있게 사업장 시스템을 바꾸는 방향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수현기자 joeloach@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