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비수도권 가면 감세·면세” vs 김문수 “규제 완화… 국가경제 긍정”
수도권 규제 개선 놓고는 온도차
‘불합리 인식’ 공통적 개선 약속
도지사 재직 당시 의혹 관련 설전
“정치자금” vs “대북송금” 격돌

6·3 대선이 전직 경기도지사들의 대결로 치러지는 만큼,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 문제에 있어 도지사 재직 시절의 기조가 고스란히 나타나는 모양새다. 수도권 규제 개선에 대해 이재명(왼쪽 캐리커처) 더불어민주당 후보와 김문수(오른쪽) 국민의힘 후보는 도지사 재직 시절 이 문제에 온도차를 보여왔었는데, 첫 TV 토론에서도 이견을 드러냈다.
지난 18일 대선 후보자 초청 첫 TV 토론에서 이 후보는 김 후보에 “경기도지사를 할 때 수도권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았나. 수도권 규제를 완화했을 때, 수도권으로 많은 게 집중돼서 지방(비수도권)이 소멸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건 어떻게 할 것인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저는 도지사 재직 시절 아주 적극적으로 수도권 규제 완화를 주장했다. 제 임기 때 했던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조성과 SK하이닉스 이천 사업장은 규제 완화의 결과물이다. 그렇지 않았으면 각 사업장들이 외국으로 갔을 수도 있다”며 “규제 완화를 통해 해당 기업 사업장을 경기도에 유치했기 때문에 오히려 비수도권 사람들도 그 쪽으로 와서 일자리를 가질 수 있었다”면서 수도권 규제 완화가 비수도권뿐 아니라 국가 경제 전반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설명했다.
그러나 이 후보는 “규제 때문에 해외로 나갈 것 같은 기업들이나 해외에서 국내로 오고 싶은데 수도권 외엔 도저히 안 된다는 기업들에 대해선 규제를 합리화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일반적인 수도권 규제를 완화하는 것은 비수도권에 대한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성남시장, 경기도지사를 할 때도 이 주장은 계속 해왔다”며 수도권 규제가 비수도권을 비롯한 국가 전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선 의견차를 보였다.
이어 “기업들이 비수도권으로 갈 땐 대규모 감세, 혹은 면세를 해주고 필요한 규제 외에는 대대적으로 완화해야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 오지 않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만 두 후보 모두 ‘불합리한’ 수도권 규제를 개선하겠다는 점을 공통적으로 약속했다.
한편 첫 TV 토론에서 두 후보는 도지사 재직 당시의 의혹을 두고 설전을 벌여 눈길을 끌기도 했다. 김 후보는 이 후보의 대북 송금 의혹에 대한 재판을 거론하면서 “(이 후보가 도지사로 재직하던 시절) 밑에 있던 이화영 전 부지사가 (불법 대북 송금 혐의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저도 도지사로서 대북 사업을 했었다. 어떻게 도지사가 모르는 대북 사업을 부지사가 할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그러자 이 후보는 “김 후보도 측근들이 경기도 산하기관에서 정치 자금을 불법으로 모금해 처벌 받았는데, 김 후보는 왜 몰랐나”라고 맞받았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