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현안, 대선 ‘핵심 의제’로

李 ‘AI산업 활성’ 데이터센터 공약

제도 시행땐 ‘낮은 요금’ 적용 전망

가동 과정서 전자파 등 반발 우려도

인천지역 현안인 ‘전력요금 차등제’가 21대 대선 핵심 의제 중 하나로 급부상했다. 인공지능(AI) 산업 활성화를 위해 데이터센터 유치를 공약으로 내건 대선 주자들이 전력 공급 방안으로 전력요금 차등제를 제시했는데, 제도가 시행되면 인천은 낮은 전기요금을 적용받을 길이 열릴 전망이다.

다만, 기피시설로 여겨지기도 하는 데이터센터가 인천에 대거 건립될 경우 주민 반발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난 18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주관하는 TV 토론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전력요금 차등을 통한 데이터센터 유치 방안을 제시했다. 이 후보는 “전력 생산지역과 소비지역의 (전력) 요금이 현재는 같은데, 장기적으로 차등을 둬야 한다”며 “(생산지역의) 전력 요금을 낮추면 데이터센터나 재생에너지 기업을 유치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전력요금 차등제에 찬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선 후보들이 전력요금 차등제를 거론한 이유는 AI 분야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센터와 관련이 있다. 데이터 전송과 저장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센터를 24시간 돌리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식히려면 막대한 양의 전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화력발전소나 원전 등 전력 생산 시설이 위치한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전력 공급 문제를 해소하고, 한 발 나아가 AI 관련 산업과 연계함으로써 지역 발전을 추진할 수 있다는 청사진을 그린 셈이다.

다만 데이터센터 유치를 위해서는 전력요금 부담을 낮춰야 한다는 과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전력 생산량이 소비량보다 많아 전력 자립률이 100%를 넘어서는 지역의 전력요금을 낮추고, 반대로 소비량이 많은 지역의 전력요금을 올리는 전력요금 차등제를 도입해 해결하자는 게 대선 주자들의 논리다.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분산에너지법)에 지역별 전력요금 차등제의 근거를 담고 있어 새 정부가 출범하면 이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인천은 영흥화력발전소를 비롯해 서울로 전력을 보내기 위한 생산시설이 몰려 있어 수도권에서 유일하게 전력 자립률이 100%를 넘어서는 지역인데, 대선 후보들의 구상대로라면 인천 역시 낮은 전력요금을 적용받아 향후 데이터센터가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인천은 데이터센터 업계가 주목하는 지역이다. 상업용 부동산 분석 전문 기업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가 최근 분석한 ‘한국 데이터센터 보고서’를 보면, 인천과 경기 부천 등 수도권 서부 지역에 데이터센터 공급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는 보고서에서 “서울 내 데이터센터 공급이 포화 상태에 이르면서 안정적인 전력 수급과 충분한 부지를 확보할 수 있는 지역으로 데이터센터 개발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인천과 부천지역은 향후 수도권 데이터센터 공급물량의 절반 가까이 차지할 예정”이라고 했다.

다만 데이터센터 가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자파와 소음 등이 주변 지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지자체의 관리가 필요하다. 지난해 1월 인천 부평구 청천동에 들어설 예정인 데이터센터에 지중선로를 설치하는 공사를 두고 인근 아파트 주민들이 반대한 사례를 비롯해 전국에서 데이터센터 건립 관련 갈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한달수기자 dal@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