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시흥시 소재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던 중 50대 여성 근로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이날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 모습. 2025.5.19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19일 시흥시 소재 SPC삼립 시화공장에서 윤활유를 뿌리는 작업을 하던 중 50대 여성 근로자가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이날 시흥시 SPC삼립 시화공장 모습. 2025.5.19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SPC 계열사 제빵공장에서 50대 여성 노동자가 근무 중 숨진 사고와 관련해 경기도 내 노동계와 정치권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반복되는 중대재해에도 개선되지 않는 SPC 공장의 노동환경에 대한 책임자 처벌과 시스템 전면 재점검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거세지고 있다.

19일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화섬식품노조)은 성명을 내고 “말도 많고 탈도 많은 SPC그룹에서 또다시 산재사망사고가 발생했다”며 “사고를 막기 위한 수차례의 구조적 개선 요구에도 묵묵부답으로 일관해왔다”고 지적했다.

이어 화섬노조는 “2022년 SPL 사망사고 당시 6가지 안전시스템 개선안을 제안했지만 SPC그룹은 실질적인 집행계획을 밝히지 않았다. 1천억원 투자 약속도 말뿐이었다”며 “SPC그룹은 이제라도 안전경영시스템 집행결과를 공개하고 이를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SPC 안전경영 합동검증위원회’를 구성하라”고 공식 요구했다.

이날 민주노총 경기본부도 성명을 통해 “이번 사고는 단순한 불의의 사고가 아니라 계획된 기업 살인”이라고 짚으며 “죽음의 빵 공장을 당장 멈춰 세우라”고 촉구했다.

이어 민주노총 경기본부는 “빠른 속도로 돌아가는 컨베이어 벨트에 몸을 넣고 윤활유를 뿌려야 했다는 동료의 증언은 현장의 공포를 그대로 보여준다. 사고가 반복되는 이유는 처벌이 없기 때문”이라며 “허영인 회장과 경영책임자들에 대한 실질적 책임 추궁이 이뤄져야 하며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은 더 강화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에서도 SPC를 둘러싼 비판이 이어졌다. 진보당 경기도당은 ‘노동자의 피로 반죽한 빵, 더는 삼킬 수 없다’는 제목의 논평을 내고 “사고 이후에도 바뀌지 않은 현장이 빚어낸 예견된 살인”이라며 SPC를 규탄했다.

김익영 진보당 경기도당 위원장은 “노동자가 죽어나가도 바뀌지 않는 현장, 책임지지 않는 경영진이 오늘의 비극을 반복하게 만든다. 허영인 회장을 비롯한 경영진에 대한 중대재해처벌법 적용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며 “매번 솜방망이 처벌만 반복되는 구조를 더 이상 방치해선 안 된다. 법은 지금이라도 그 책임을 분명히 물어야 한다”고 밝혔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