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6대 대통령선거가 오늘부터 후보등록을 시작으로 22일간의 공식 선거운동에 들어간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민주당 노무현 후보가 주도하게 될 이번 대통령선거는 71년 제7대 대통령선거 이후 처음으로 양자구도로 치러진다. 양자구도는 다자대결 구도의 폐해였던 국민대표성 시비를 해소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16대 대통령선거가 고질적인 정치불신 현상을 씻어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번 대선을 국민화합과 상생정치 실현의 계기로 만들기 위해서는 정치권과 유권자들이 반드시 실천해야 할 일이 하나 있다. 바로 후보 개인간의 대결양상으로 점철된 선거관행을 청산하는 일이다. 지금 한나라당은 노 후보를 'DJ 계승자'로 명명하고, 민주당은 이 후보를 '수구의 대표'로 규정해 본격적인 후보비방전에 나설 태세다. 이래서는 안된다. 대통령선거는 집권자를 선출하는 것이 아니라, 대통령으로 상징되는 정당과, 그 정당의 국가운영 비전과 정책노선에 동의한 다수 국민이 집권세력을 형성하는 것으로 봐야 한다. 그래야 대선 결과에 대한 승복이 수월해지고 국민이 화합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 정치가 국가운영 시스템으로 작용하기보다는 과도한 '인치(人治)'의 성향을 보여온 것도 과거의 대선이 후보간 대결구도로 치러진 탓이다. 상대 후보와 정당의 인격과 정체성을 송두리째 부정하는 야만적인 선거관행은 21세기 첫 대통령선거에서 사라져야 한다.
이회창-노무현 두 후보와 한나라당-민주당 두 정당은 오늘부터 각 분야별 공약을 소상히 밝히고 국민들로부터 철저한 검증을 받아야 한다. TV토론과 정책광고를 통해 자신들이 집권하면 국가와 국민에게 어떤 미래가 열리는지 유권자들을 진지하게 설득하는 '희망의 경쟁'을 벌여야 할 것이다. 우리 국민은 과거정치와의 단절을 입으로만 외치는 후보와 실제로 실천하는 후보를 분별할 수 있는 능력이 충분하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유권자들도 투표일까지 대선 후보들과 정당들의 공약을 꼼꼼히 챙겨보고 각종 토론회를 주시하면서 21세기의 새로운 지도자가 누구인지를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정서와 감정에 휩쓸려 한표를 낭비하면 절대 안된다. 정부는 물론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검찰도 16대 대선에 담긴 시대적 의미의 막중함을 인식해 공명선거 관리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막오른 16대 대통령선
입력 2002-11-26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2-11-26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