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잡지 않으면 끝입니다.”
지난 11일 기찻길 옆 컨테이너 사무실에서 만난 강홍구 동두천 시민연대 공동대표는 “폭행이나 교통사고 같은 (미군)범죄가 발생하더라도 현장에서 범인을 잡지 못하거나 정확한 목격자가 없으면 해결이 거의 어렵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특히 “지방자치단체나 경찰의 의지가 없다는 것이 더욱 힘든 점”이라고 강조했다.
다음은 강 대표와의 일문일답.
-동두천지역에서 주한미군의 의미는.
“과거 달러가치가 높았을땐 동두천 경제가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좋을수 밖에 없었다. 하루 일하면 40~50달러씩 벌수 있었으니까. 그러나 사실상 대부분의 돈을 서울 사람들이 벌었다. 그리고 번 돈은 모두 동두천 밖으로 빠져나갔고 동두천에는 거의 투자가 되지 않았다.”
-미군범죄 실태는.
“동두천지역에 광범위하게 미군기지가 주둔하면서 수많은 미군범죄가 발생했다. 크고 작은 범죄가 끊이지 않고 일어났지만 90년대초까지 제대로 해결된 사건은 거의 없었다. 미군 범죄가 발생하면 우리나라 정부나 지자체, 경찰이 할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미군범죄에 대한 언론보도도 완전히 통제돼 사실상 일반인들은 거의 알지 못했다. 지난 92년 동두천시 보산동에서 발생한 윤금이씨 살해 사건이 미군범죄 해결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윤금이씨 살해사건의 불공정한 해결과정이 알려지면서 시민·사회단체들의 조직적인 움직임이 일어났고 이를 계기로 미군범죄에 대한 대처가 본격화됐다.”
-알려지지 않은 사건이라면.
“92년 윤금이씨 사건 전에는 대부분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정확한 파악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동두천에만 1만명 가까운 양공주들이 살았다. 당연히 사건이나 사고가 발생하지 않을수가 없지만 제대로 드러나지가 않았다. 간혹 미군기지에서 일한 우리나라 직원들을 통해서 흘러나오는 정도가 다였다.”
-미군범죄 해결의 가장 큰 어려움은.
“지자체나 경찰의 의지가 없는 점이다. 미군범죄를 수사할만한 능력이나 전문성이 전혀 없다 보니 어떤 사고나 사건이 발생해도 초동수사가 전혀 안된다. 하다못해 통역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실제 사고나 사건 현장에서 미군 헌병대의 조사를 지켜보는 수준에 머무는 경우가 많다. 설사 미군 용의자가 거짓말을 해도 이를 추궁하는 것도 불가능한 실정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그런 것이 관행적으로 계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미군기지문제의 해결 방안은.
“현재 미2사단은 미래형 사단을 개편해 동두천에 계속 주둔하게 된다. 지난 50년간 정체됐던 동두천이 진정으로 발전하려면 미군기지가 완전히 철수해야 한다. 또 미국이 기지를 반환한다고 해서 정부나 지자체가 앞다퉈 개발계획을 수립중인데 중요한 것은 반환이후의 개발계획이 아니라 어떻게 반환을 받는 것이냐는 점이다. 국가가 자주적 의지를 갖고 해결에 임해야 한다.”
/취재팀
[미군철수특별기획] 강홍구 동두천 시민연대 공동대표
입력 2005-07-15 00:00
수정 2021-09-01 11:22
지면 아이콘
지면
ⓘ
2005-07-15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