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가 된지 20년이 넘었는데도 인구가 10만명도 안되는 곳은 동두천밖에 없을 겁니다.”

지난 4월말 현재 동두천시 인구는 약 8만명 안팎. 지난 63년 '동두천읍’이 처음 됐을때 인구는 4만5천여명이었고 20년뒤인 83년 6만8천여명으로 늘었다. 이후 2000년 7만6천여명을 정점으로 동두천의 인구는 거의 정체상태다. 지난 20년간 연평균 인구 증가율이 0.5%다. 반면 이웃 양주의 경우 지난 83년 인구가 7만2천여명이었지만 2003년 시 승격후 15만5천여명으로 급증했다. 포천도 2000년대 이후 인구가 12%나 늘었다. 이런 실정속에서 미군이전과 기지(공여지) 반환은 지역경제 위축이라는 심각한 위기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지역총생산 7천800억원 가운데 주한미군 관련 경제규모는 2천200억원으로 28%라는 막대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예정대로 미군이전이 이뤄질 경우 관련 전체 도·소매업 고용자수의 34%, 음식·수박업은 30%의 근로자가 일자리를 잃고 직·간접적인 경제손실규모는 연간 2천4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도시 자체가 생존 위기에 몰리게 된 셈이다.〈관련기사 3면〉

하지만 미군이전과 공여지 반환은 체계적인 지역발전의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곳곳에 자리하고 있는 미군기지로 인한 기형적인 도시성장을 바로잡고 근본적인 지역발전의 기틀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의정부와 파주, 동두천시는 이미 개발구상이나 계획을 마련해 놓은 상태다. 문제는 공여지의 무상반환 부문. 해당 지자체들은 막대한 매입비용을 들여 무상양여를 주장하고 있지만 국방부측은 미군기지 이전비용 마련을 위해 무상양여는 어렵다는 입장이다.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한 매입비용은 동두천이 6곳 7천억여원으로 가장 많고 의정부 7곳 4천100억여원, 파주 6곳 3천억여원이다./취재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