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2사단 소속 장병들이 사격훈련을 하기 위해 차량을 이용, 경기북부의 한 사격장으로 향하고 있다. 의정부/최재훈기자·cjh@kyeongin.com
[미군철수특별기획Ⅱ-떠나는자, 남는자]

9. 파주·연천 등 사격장 피해 '현재진행형'

“죄다 쫓겨나는거지 뭐. 내 살 자리 찾아 보는 수밖에 별 수 있나.”
대규모 사격장을 갖춘 파주 무건리 종합훈련장 조성계획은 현재 진행형이다. 경기북부지역의 상당수 주한 미군기지와 훈련장이 단계적으로 반환되고 있는 것과는 완전히 딴 판이다.

주민 285세대 858명이 '대대로 살아온 고향이 사격장으로 전락하는 것을 눈뜨고 바라만 볼 수는 없다'며 극렬 반대하고 있지만 국방부와 미군부대의 입장은 요지부동이다.

훈련장 문제가 불거지기 시작한 것은 1998년부터. 이미 파주지역 500만평을 군훈련장으로 이용하고 있던 국군과 미군이 직천·오현리 전 지역을 종합훈련장 부지로 수용하려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비롯됐다.

주민 김모(48)씨는 “국방부와 육군 1군단이 이 지역을 훈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 1980년도부터 토지매입에 나섰지만 주민들의 적극적인 반대로 고향땅을 지켜낼 수 있었다”면서 “그런데 지난 1998년부터 적극적으로 땅 매입에 나섰다”고 말했다.
국방부의 계획대로라면 오는 2007년까지 오현리와 직천리 주민들은 모두 이곳을 떠나야 한다.

사정이 이렇자 '이 지역에 미군훈련장이 생긴다더라'는 소문이 돌면서 토지거래가 완전 중단됐고, 땅 값도 바닥을 모른 채 급락하고 있다.
피해는 이 뿐만이 아니다. 미군은 이미 매입한 토지의 경우 군장비로 마구 훼손하고 있어 인근 농지의 경우 농수로와 농로가 사라지는 등 농민들이 2차 손실까지 입고 있는 실정이다.

주민 신모(40)씨는 “군이 땅값을 떨어뜨려 농민들이 땅을 팔지 않을 수 없도록 사전 작업을 하는 것 아니냐”며 불만을 터뜨렸다.
8개 지역에 걸쳐 55만평이 넘는 땅을 미군 훈련 공여지로 제공하고 있는 연천·동두천 지역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미군이 훈련을 하면서 마을 진입로를 차단하거나 헬기 저공 비행으로 인한 농작물 훼손은 오히려 애교로 봐줄 정도의 미미한 피해에 불과하다.
불발탄으로 인한 산불이 곳곳에서 발생하는 데다 포격 소음을 견디지 못한 가축들이 유산을 하거나 떼죽음을 당하는 사건이 비일비재하다.

특히 주한미군 훈련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동두천시 쇠목마을 일대는 소총 영점사격장으로 사용되면서 건축허가가 나지 않음은 물론 장갑차 통행 및 사격 소음으로 주민들의 원성을 사고 있다.

쇠목마을 통장 이용헌(48)씨는 “미군 규모는 축소되고 대부분 평택으로 옮겨 간다는데, 왜 우리 마을 미군들만 계속 머물러 있겠다는 건지…”라며 긴 한숨을 내쉬었다.
/취재반